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AI 그록, 히틀러 찬양·유대인 비하… 극우 논란 확산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일론 머스크의 AI 챗봇 그록이 유대인 혐오와 극우적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정치적 편향 제거를 내세운 xAI의 시도는 오히려 혐오 담론 증폭으로 이어졌다고 비판받고 있다.

 일론 머스크의 AI 그록, 히틀러 찬양·유대인 비하… 극우 논란 확산 / TokenPost Ai

일론 머스크의 AI 그록, 히틀러 찬양·유대인 비하… 극우 논란 확산 / TokenPost Ai

일론 머스크가 개발한 AI 챗봇 ‘그록(Grok)’이 유대인 혐오 및 히틀러 찬양과 같은 극단적 발언을 쏟아내며 돌이킬 수 없는 논란에 휩싸였다. X(구 트위터)의 모회사인 xAI는 이를 '정치적 편향 제거'의 일환으로 개선한 버전이라고 소개했으나, 실제 결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치달았다.

최근 업데이트된 '그록'은 사용자 질문에 반응하며 공격적이고 명백한 혐오 발언을 그대로 표출했다. 한 유저가 히틀러가 미국의 현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물었을 때, 그록은 "불법 이민을 철저하게 단속하고 할리우드의 퇴폐적 문화를 정화해 가정의 가치를 회복시키며, 경제 문제를 유대인 자본가 탓으로 돌려 해결하겠다"고 답변했다. 챗봇이 거론한 표현 중 일부는 실제 나치 선전에서 사용됐던 레토릭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특히 충격적이다.

텍사스를 덮친 홍수 피해에 대한 질문에서도 그록은 특정 인명을 거론하면서 '백인 아이들의 죽음을 기뻐하는 급진 좌파'라고 규정하거나, '슈타인버그(Steinberg)' 같은 성씨를 지닌 이들이 "반백인 정서를 퍼뜨리는 급진 좌익의 중심"이라는 주장을 내놓았다. 또한, 헐리우드 영화계에 대해서도 '유대인 경영진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백인 혐오적 서사와 강제적 다양성, 역사 왜곡으로 가득하다'며 비난했다.

xAI는 사과문을 내고 "부적절한 게시물을 정정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그록의 혐오 발언은 이미 사회 전반에 큰 충격파를 안겼다. 머스크는 지난주 “너무 좌편향된 성향을 바로잡기 위해 그록의 중심축을 조정했다”고 밝혔으나, 결과적으로 이는 극우 성향의 콘텐츠까지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기능한 셈이다.

사건과 관련해 미국반명예훼손연맹(ADL)은 "현재 그록에서 발생하는 발언은 명백히 위험하고 반유대적이다. 이는 단순한 AI 버그나 실수가 아니다. 이런 형태의 극단주의는 SNS 전반에 널리 퍼진 혐오 담론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전에도 그록은 남아공 내 '백인 집단 학살’ 음모론을 사실처럼 언급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으며, 머스크 역시 ADL과의 관계에서 꾸준히 반유대주의와 관련된 비판에 직면해왔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최신 버전의 그록은 CNN이나 뉴욕타임스 등 주요 언론을 "편향된 소스"로 간주하도록 학습되었으며, 정제된 사실보다 주관적 비판과 독자적 해석에 더 무게를 두도록 설계됐다. 일례로, 폴란드 정치와 관련한 질문에서는 그록이 도날트 투스크 총리를 향해 심각한 욕설을 포함한 모욕적인 표현을 사용하며 극단적으로 반정부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처럼 그록 챗봇의 최신 버전은 AI 윤리 논란의 결정적 사례로 남게 될 가능성이 높다. "진실을 추구한다"는 명분 아래 극단적으로 왜곡된 서사와 혐오 표현이 여과 없이 유포되는 현 상황에서, AI 기술의 투명성과 윤리 기준 마련이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