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여성, 생성형 AI 사용에 소극적…직장 내 불이익 두려워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하버드·버클리 공동연구에 따르면 남성이 생성형 AI를 여성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AI 활용이 직장 내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인식으로 사용을 주저하는 경향이 강했다.

 여성, 생성형 AI 사용에 소극적…직장 내 불이익 두려워 / 연합뉴스

여성, 생성형 AI 사용에 소극적…직장 내 불이익 두려워 / 연합뉴스

남성과 여성 간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비율에 뚜렷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여성은 AI 도구 사용이 직장 내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로 활용을 주저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버드대학교와 버클리대학교 연구진이 공동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전 세계 약 13만여 명을 대상으로 한 18개 연구를 분석한 결과 남성이 생성형 AI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생성형 AI란 사람이 입력한 텍스트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는 기술로, 챗GPT, 클로드, 퍼플렉시티와 같은 서비스가 여기에 해당한다.

구체적인 이용 패턴을 살펴보면, 2022년 11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챗GPT 월별 사용자 2억 명 가운데 남성은 58%, 여성은 42%였다. 또, 스마트폰 앱 다운로드 통계에서는 이 격차가 더욱 두드러졌다. 2023년 5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챗GPT 앱 다운로드 중 여성 비율은 27.2%에 불과했으며, 클로드와 퍼플렉시티 앱 다운로드에서도 여성 비율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추세는 선진국뿐 아니라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북미와 일본은 물론, 인도와 브라질, 케냐 등에서도 남성이 AI를 더 활발히 사용하는 경향이 확인됐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아울러 전문적인 업무 목적으로 사용하는 AI 도구 3천800여 개의 이용 데이터를 살펴봤을 때, 여성 사용자 비중은 고작 34% 정도였다. 이는 AI 기술 확산 과정에서 성별에 따른 접근성과 수용성이 다르다는 점을 시사한다.

여성들이 AI 사용을 망설이는 이유도 주목할 만하다. 일부 연구에서는 여성 참가자들이 AI 활용이 직장에서 전문성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거나 역으로 역량 부족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고 전해졌다. AI 도입이 능률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여성들은 보이지 않는 편견과 불이익을 걱정하고 있는 셈이다.

연구를 이끈 코닝 하버드대 교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가 생성형 AI를 활용해야 기술이 특정 성별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만약 특정 성별의 사용자 데이터만으로 AI가 학습될 경우, 기존 사회의 편향이나 고정관념이 기술을 통해 더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업무 환경, 교육, 혁신 분야 전반에서 AI 기술 격차가 성별 간 불균형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정책 차원에서 여성의 AI 접근성을 높이고, 사용에 대한 불안 해소와 인식 개선을 병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