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전반에서 인공지능(AI)을 실질적으로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세일즈포스가 'Agentforce' 플랫폼을 통해 AI 개발의 문턱을 낮추고 있다. 코드 라인 뒤에 감춰져 있던 AI 권한을 관리자와 현업 전문가에게까지 확장하면서, AI 에이전트가 더 이상 기술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닌 전사적 자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세일즈포스 AI 부문 부사장인 낸시 쉬(Nancy Xu)는 최근 열린 ‘드림포스 2025(Dreamforce 2025)’ 행사에서, 비개발자와 서비스 팀 구성원도 Agentforce 플랫폼 인터페이스를 통해 AI 에이전트를 제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현재 해당 플랫폼에서는 1만 2,000개 이상의 고객사가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있으며, 금융, 소비자 서비스, 세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플랫폼의 핵심 경쟁력은 접근성과 협업 중심 설계다. 이용자는 자연어 명령, 로우코드 인터페이스, 또는 새로운 스크립트 언어인 'Agent Script'를 활용해 AI 에이전트를 설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IT 부서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관리자, 기획자, 비즈니스 전문가가 직접 프로세스를 설계·수정하면서 업무 흐름에 최적화된 에이전트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다.
실제 사례로, 세일즈포스는 외식 예약 플랫폼 오픈테이블(OpenTable) 고객 문의의 약 70%를 AI 에이전트가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회계법인 1-800Accountant는 세금 시즌 동안 90%에 달하는 고객 문의를 Agentforce 기반 AI가 해결하고 있다. 계절성과 변동성이 큰 산업군에서 AI가 제공하는 자동화 유연성이 큰 강점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쉬 부사장은 “AI 에이전트의 핵심은 엔터프라이즈 전환 그 자체다. 단순한 기능 구현을 넘어, 조직 전체가 목표에 공감하고 결과 측정을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미래를 주도할 수 있다”고 밝혔다.
Agentforce는 단순히 AI 도입의 장벽을 낮추는 수준을 넘어, 기업 내 협업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동안 AI가 기업 성장에 있어 필수 전략이란 인식은 분명했지만, 실제로 현업이 주도할 수 있는 방법론은 제한적이었다. Agentforce는 이 지점을 정조준하며, 기업 AI의 민주화를 실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