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 BTC 대비 저평가 지속…온체인 침체 속 반등 함정 우려

작성자 이미지
손정환 기자
3
4

이더리움이 최근 반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트코인 대비 큰 폭으로 저평가돼 있으며, 온체인 활동 침체와 공급 증가 등 구조적 문제로 반등 지속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이더리움(ETH), BTC 대비 저평가 지속…온체인 침체 속 반등 함정 우려 / TokenPost Ai

이더리움(ETH)이 2019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가 최근 며칠 사이 상당한 회복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비트코인(BTC) 대비 큰 폭의 할인율을 보이고 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의 최신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가치와 실현가치의 비율을 나타내는 ETH/BTC MVRV 비율이 '극도의 저평가' 영역에 진입했다. 과거 사이클에서 이 수준은 이더리움의 대규모 반등을 알리는 신호였다.

그러나 크립토퀀트는 현재 상황이 과거와는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더리움의 저평가 배경에는 여러 근본적인 역풍이 존재한다. 특히 디플레이션 공급 내러티브가 무너지면서 전체 공급량이 1억 2,070만개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4년 3월 덴컨 업그레이드 이후 거래 수수료가 대폭 감소하면서 ETH 소각률이 붕괴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소각되는 토큰이 줄어들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이더리움 시장에 다시 유입되었다.

온체인 활동 침체도 문제다. 2021년 이후 레이어2(L2) 네트워크가 메인넷 사용량을 분산시키면서 거래 건수와 활성 주소 등 주요 지표가 하락했다. L2가 확장성을 개선했지만, 동시에 기본 계층 블록스페이스 수요를 희석시켜 ETH의 유틸리티 가치를 약화시켰다.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도 시들해졌다. 스테이킹된 ETH 물량이 2024년 11월 3,500만개 정점에서 3,440만개로 감소했고, ETF 보유량도 2월 이후 40만 ETH가 유출되며 투자자 신뢰도 약화를 반영했다.

다만 이더리움은 주말 2,400달러 선까지 급등했다. 지난주에만 30% 이상 상승하며 비트코인의 7.5% 상승과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8% 상승을 크게 앞섰다. 이는 5월 7일 계정 추상화와 스테이킹 메커니즘을 개선한 11개 EIP가 포함된 펙트라 업그레이드 성공과 맞물렸다.

역사적으로 이더리움의 비트코인 대비 할인은 매수 신호로 작용했다. 그러나 크립토퀀트는 인플레이션 재개, 수요 약화, 활동 침체 등으로 인해 이번에는 저평가가 반등의 발판이 아닌 함정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토큰포스트, 국내 최초 암호화폐 전문 팟캐스트 ‘토큰포스트 팟캐스트’ 론칭

댓글

3

추천

4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다사랑

2025.05.12 09:47:21

후속기사 원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05.12 04:55:0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5.12 00:02:1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