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Ripple)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가 라이트코인(LTC) 지지자의 XRP 공격에 정면 반박하며 두 커뮤니티 간 오래된 논쟁이 다시 불붙었다. 문제의 발단은 라이트코인 인플루언서인 '조니 라이트코인'(@jonnylitecoin)의 발언이었다. 그는 XRP가 단순히 ‘코드 몇 줄로 공짜 제작’된 반면, 라이트코인은 작업증명(PoW) 방식을 통해 실제 연산 자원이 투입되어 생성되므로 더 가치 있는 자산이라 주장했다.
그는 이어 XRP가 증명된 유효성을 갖추지 못한 채 공기에서 만들어졌으며, 진정한 네트워크 가치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XRP 시가총액이 7억 900만 달러(약 9,840억 원)에 달한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러한 평가가 과연 정당한지 날을 세웠다.
이에 슈워츠는 수년째 이어져온 PoW와 PoS(지분증명) 중심 네트워크 간의 효율성 논란을 언급하며, "XRP와 라이트코인은 본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에너지 소비 면에서 차이가 크다"고 반박했다. 그는 XRP가 보다 지속 가능한 블록체인 솔루션임을 강조하며, 장기적으로 더 많은 사용자와 기업에 선택받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리플은 자사의 '친환경 블록체인'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부각해오고 있다. 공동 창립자인 크리스 라센(Chris Larsen)은 그린피스와 협력해 비트코인과 라이트코인을 포함한 PoW 기반 블록체인을 에너지 낭비형 시스템으로 규정하고 개선을 촉구한 바 있다.
이번 논쟁은 단순한 기술 우열을 넘어, 커뮤니티 감정 싸움으로도 번지고 있다. 최근 라이트코인 공식 계정은 리플의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CEO를 겨냥해 조롱하는 게시물을 올리는 등, 또 한 차례의 갈등을 유도했다. 이에 XRP 지지자들의 강한 반발이 쏟아졌으나, 라이트코인 측은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번 사건은 탈중앙화 네트워크의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 물음을 다시 제기하게 한다. 기술적 구현 방식의 차이보다 지속 가능성과 에너지 효율이 중시되는 흐름 속에서, XRP와 같은 프로젝트가 점점 더 설득력을 얻어가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