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두나무,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 공식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 주최

프로필
토큰포스트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두나무는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의 공식 부대행사로 최초 디지털자산 포럼을 개최하고, 글로벌 금융 혁신과 협력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두나무,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 공식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 주최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대표 오경석)가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APEC CEO Summit Korea 2025)’의 공식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Future Tech Forum: Digital Asset)’을 주최했다고 30일 밝혔다.

APEC CEO 서밋에서 디지털자산을 주제로 한 별도의 부대행사가 열리는 건 국내 최초다. 두나무는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을 대표해 글로벌 협력 논의를 주도했다.

행사는 10월 30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경북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렸다. 금융·기술·정책 분야를 대표하는 글로벌 리더들이 참석해 디지털자산의 미래와 산업 간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 디지털자산, APEC 무대에 오르다

‘퓨처테크포럼’은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의 공식 부대행사다. 올해 ‘퓨처테크포럼’은 조선, 방산, 인공지능(AI), 미래 에너지 등 국가 핵심 산업을 주제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디지털자산’이 포함돼, 그간 실물 산업 중심의 논의가 이어져 온 APEC 무대에서 이례적인 사례로 주목받았다. 이번 포럼은 디지털자산이 전략 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글로벌 경제 담론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줬다.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은 ‘Connecting the Future of Finance(미래 금융을 연결하다)’를 주제로 열렸다. 포럼에서는 AI, 스테이블코인, 금융 포용 등 디지털자산이 만들어갈 새로운 금융 질서와 글로벌 협력의 가능성을 다각도로 조명했다.

■ 디지털자산이 ‘연결’한 글로벌 금융의 미래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30일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개최된 ‘퓨처테크포럼_디지털자산’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행사는 오경석 두나무 대표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오 대표는 “연결이 곧 진보의 토대”라며, “디지털자산은 더 이상 한정된 영역의 혁신이 아니라, 기술과 금융, 시장과 사람, 그리고 지역과 경제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포럼은 디지털자산을 넘어 미래 금융의 새로운 질서를 함께 만들어가는 논의의 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조연설은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디지털 화폐 이니셔티브 수석 고문이자 Advanced AI Society 의장이 맡았다. 그는 ‘스테이블코인, AI 그리고 프로그래머블 화폐: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다가오는 대전환’을 주제로 발표하며, AI와 디지털자산의 결합이 금융 인프라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연결의 혁신’이 될 것임을 역설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금융 포용, 제도 등 디지털자산 산업의 주요 현안이 심도 있게 다뤄졌다. 첫번째 ‘스테이블코인과 국경 간 혁신: 글로벌 금융과 규제의 가교’ 세션에서는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CBIO)가 좌장을 맡고 ▲루 인 솔라나 재단 APAC 사업개발 총괄 ▲폴 블루스타인 ‘킹달러’ 저자 겸 금융 저널리스트 ▲마이클 케이시가 패널로 참여했다.

패널들은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를 중심으로 국경 간 금융 인프라 혁신과 규제 협력의 균형을 논의했다. 이들은 스테이블코인이 단순한 자본 이동 수단을 넘어 글로벌 금융 신뢰를 재설계하는 기술적 기반이 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두 번째 패널토론 세션 ‘금융 포용: 언뱅크드를 연결하다’에는 ▲이사벨 채터튼 아시아개발은행 민간부문 운영실 총괄 ▲엘리자베스 로시에로 AZA 파이낸스 CEO 겸 창업자가 패널로 참여하고, ▲윤선주 두나무 CBIO가 좌장을 맡았다. 이들은 기술 혁신이 금융의 문턱을 낮추며, 더 많은 사람들이 글로벌 경제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있다는 데 뜻을 함께했다. 또한 기술이 사람과 기회를 잇는 새로운 연결의 장을 열고 있다고 강조했다.

30일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에서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디지털 화폐 이니셔티브 수석 고문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마지막 세션 ‘제도화와 융합: 전통 금융과 디지털자산의 미래’에서는 ▲오경석 두나무 대표를 비롯해 ▲대니 찬 마스터카드 APAC CISO ▲마이클 호 아메리칸 비트코인 이사회 의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좌장은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 회장 겸 대표이사가 맡았다. 참석자들은 금융과 디지털자산의 경계가 빠르게 허물어지고 있으며, 신뢰와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금융 생태계 구축이 앞으로의 핵심 과제라고 제시했다.

윤선주 두나무 CBIO는 “이번 포럼은 디지털자산이 글로벌 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한국을 대표해 업비트가 이 같은 국제 무대를 주최하게 돼 뜻깊다”고 말했다. 이어 “업비트는 국가대표 거래소로서 산업 발전과 국제 논의를 주도해 한국 디지털자산의 위상을 높여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주요 부대행사다. ‘Bridge, Business, Beyond’를 주제로 세계 21개 회원국 정상과 글로벌 CEO 1700여 명이 참여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의 비즈니스의 장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위당당

22:00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