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이 미국 시장을 겨냥한 신규 프라임 브로커리지 플랫폼 ‘리플 프라임(Ripple Prime)’을 출시하며, 자사의 대표 암호화폐인 XRP와 스테이블코인 RLUSD를 주식처럼 직접 거래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이번 신사업은 기관 투자자들이 리플을 통해 이뤄지는 ‘OTC(장외) 현물거래’를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투자자들은 기존 거래소 방식이 아닌, 깊은 유동성과 정산 안정성을 갖춘 방식으로 XRP, RLUSD를 포함한 주요 디지털 자산과 스테이블코인을 직접 매매할 수 있게 됐다. 일종의 ‘월스트리트 스타일’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가 개시된 셈이다.
리플 측은 이 플랫폼이 전통 금융 데스크와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잇는 ‘중간 다리’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미국 내 운용기관과 트레이더는 이 시스템을 활용해 OTC 현물 거래뿐 아니라 파생상품 거래, 선물 포지션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전통 자산 운용 방식처럼 리스크와 수익 포트폴리오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리플의 스테이블코인 RLUSD는 발행량이 더해지며 시가총액 10억 달러(약 1조 원)를 넘어섰다. RLUSD는 현재 이더리움(ETH)과 리플의 퍼블릭 블록체인 XRP 레저에서 동시에 운영되고 있으며, 리플에 따르면 최근 5천만 RLUSD가 추가로 발행됐다.
해당 발표는 리플이 주최하는 연례 행사 ‘스웰 2025(Swell 2025)’를 하루 앞둔 시점에 나왔다. 이번 행사에선 크라켄, 체이널리시스, 씨티그룹 등 주요 기관 관계자들이 연사로 나서 기관 내 암호화폐 채택 확대와 관련된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리플은 XRP와 RLUSD를 중심으로 OTC 거래 환경, 브로커리지 시스템, 결제 인프라까지 종합적으로 연결하며 ‘암호화폐 기반 종합 금융 시스템’ 구축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기존 금융을 대체하고자 했던 암호화폐의 본래 목적에 근접하는 움직임이라는 평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