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저녁 뉴스브리핑] 블랙록 IBIT, 지난 2주 동안 $39.2억 BTC 매입 外

작성자 이미지
강수빈 기자
1
1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 'IBIT'가 최근 2주간 41,452 BTC를 추가 매입하며 보유량을 614,638 BTC까지 늘렸다. 이번 매입 규모는 약 39.2억 달러에 달한다.

블랙록 IBIT, 지난 2주 동안 $39.2억 BTC 매입 / Tokenpost

블랙록 IBIT, 지난 2주 동안 $39.2억 BTC 매입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인 IBIT는 지난 2주 동안 41,452 BTC(39.2억 달러 상당)를 매입했으며, 현재 보유량은 614,638 BTC(580.7억 달러 상당)에 달한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스테이블코인 규제 시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5일(현지시간) 이탈리아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원화나 달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스테이블 코인은 화폐의 대체재다. USDT(테더) 등은 우리나라 자본 규제, 외환 규제를 우회할 가능성이 크므로 규제가 시급하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그는 "달러화 표시 글로벌 스테이블 코인은 외국환관리법 차원에서 봐야 한다. 원화 표시 스테이블 코인은 허용할 거냐 말 거냐부터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도 스테이블코인은 화폐에 의존한다면서 CBDC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FT "멜라니아 밈코인 홍보 전 몇몇 주소가 선취매...$9,960만 수익"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측 밈코인 MELANIA 발행 홍보 전 일부 투자자들이 선취매에 나서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멜라니아가 트루스소셜에 밈코인 발행 관련 게시물을 올리기 전 2분여 전부터 일부 주소들이 MELANIA를 대량 매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20여개 주소가 260만 달러 상당 MELANIA를 매수했고, 이후 가격이 급등한 뒤 9,960만 달러에 물량을 털어냈다. FT는 "밈 코인은 미국 법상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는 까닭에 개인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보 공개 및 내부 거래 관련 규정을 준수할 필요가 없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피그먼트, 최대 $2억 규모 M&A 추진 중

스테이킹 인프라 업체 피그먼트(Figment)가 1억~2억 달러 규모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대상은 블록체인 생태계 내 강력한 입지를 가진 기업 다수로 알려졌다. 현재 피그먼트는 150억 달러 상당 스테이킹 자산을 운용 중이며, 향후 미국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스테이킹 옵션이 허용될 수 있는 점을 성장 기회로 보고 있다. 이번 인수합병 추진은 이에 따른 포트폴리오 확장 전략이다.

케냐 법원, 월드에 ‘생체 데이터’ 삭제 명령

케냐 고등법원이 블록체인 기반 홍채 스캔 신원 인증 프로젝트 월드(구 월드코인, WLD)에게 케냐에서 수집한 모든 생체 데이터를 삭제하라고 명령했다. 법원은 월드 측이 케냐 데이터보호위원회의 승인 없이 민감한 생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이를 위해 암호화폐를 대가로 제공했다고 봤다.

리플 스테이블코인 RLUSD, 제미니서 입출금 지원

리플의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전무이사 리스 메릭(Reece Merrick)이 X를 통해 "리플의 새 스테이블코인 RLUSD가 제미니에서 입출금을 지원한다"고 전했다.

이재명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 인하, 현물 ETF 도입"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코인 표심' 확보를 위해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 인하와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을 공약으로 내세웠다고 뉴스1이 전했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 인하를 유도하겠다. 가상자산 현물 ETF를 도입하고 통합감시시스템을 구축해 안전한 가상자산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바이낸스, ASR·ALPINE 무기한 선물 상장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5월 6일 18시 30분(한국시간) ASR/USDT, 같은 날 18시 45분 ALPINE/USDT 무기한 선물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두 페어 모두 최대 75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분석 "BTC, 최근 상승에도 숏 포지션 증가...가격 방향 따라 연쇄 반응 나올 것"

최근 비트코인이 상승했음에도 선물 시장에 이례적으로 숏 포지션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업체 매트릭스포트가 분석했다. 매트릭스포트는 "BTC는 최근 약 25% 상승했으며, 이 기간 중 미결제 약정 규모는 220억 달러에서 290억 달러로 증가했지만 펀딩 비율은 0% 부근을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인 강세장과는 다른 양상이다. BTC가 가격 상승을 지속하는 경우 숏 스퀴즈 현상이 나타나며 상승폭을 확대할 수 있겠지만, 가격 반락이 나타나는 경우 숏 포지션들이 수익 구간에 진입하며 매도 압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시장이 어느 한 쪽으로 크게 기우는 경우 연쇄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WLFI 스테이블코인, 스테이크스톤에 $1만 USD1 이체..."디파이 서비스 가능성"

옴니체인 유동성 인프라 스테이크스톤(STO) 배포자 주소가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의 스테이블코인 USD1의 공식 에스크로 주소에서 1만 USD1를 이체받았다고 엠버CN이 전했다. 엠버CN은 "해당 이체는 테스트 목적으로 보이며, 스테이크스톤은 USD1의 첫 번째 디파이 서비스 제공업체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부연했다.

넷플릭스 드라마 블랙미러, 공식 토큰 출시 계획

넷플릭스 SF 드라마 시리즈 블랙미러(BlackMirror)가 웹3 플랫폼 지원 공식 토큰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gam3s.gg가 전했다. 토큰 명칭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용자의 행동이 블록체인상에서 추적·평가되며, 이에 따라 보상이 지급되는 구조로 전해졌다. 블랙미러는 그동안 극중에서 감시 사회적 요소를 경고해왔으며, 이를 실제 사회에 구현하겠다는 구상에서 토큰 출시를 계획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프로젝트 개발에는 애니모카 브랜드, 나이언틱 랩스, 아발란체 등이 협력 중이다.

유니스왑, 소니 레이어2 소니움 지원 추가

유니스왑(UNI)이 소니 그룹의 레이어2 블록체인 소니움(Soneium)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소니움 네트워크를 통해 유니스왑 웹 및 앱을 이용할 수 있다.

비트겟 온체인, BWAH·stickman·DeFi 상장

비트겟 온체인이 공식 채널을 통해 BWAH, stickman, DeFi를 상장했다고 공지했다. 비트겟 온체인은 모바일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 중앙화 거래소 시스템 내에서 별도의 웹3 지갑 없이 온체인 자산 거래를 지원한다.

제레브로 설립자 사망...향년 22세

미국 온라인 추모관 레거시닷컴(legacy.com)에 따르면, 제레브로(ZEREBRO) 설립자 제피 유(Jeffy Yu)가 지난 4일(현지시간) 향년 22세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원인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美 플로리다주서 BTC 전략 비축안 2건 최종 좌초

미국 플로리다 주의 비트코인 전략 비축안인 하원 법안 487호와 상원 법안 550호가 무기한 보류 및 심의 철회 처리됐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두 법안은 지난 2월 발의됐으며, 주 재무책임자와 행정위원회가 기금의 최대 10%를 BTC 매입에 허용하겠다는 안을 담았다. 다만 이번 회기 종료 전 표결이 처리되지 않아 법안은 최종적으로 좌초됐다. 이에 따라 플로리다 주는 와이오밍, 사우스다코타, 노스다코타, 펜실베이니아, 몬태나, 오클라호마에 이어 주 차원 BTC 전략 비축안을 처리하지 못한 7번째 주가 됐다.

ETH 현물 ETF 자금 순유출입 無

파사이드 인베스터 데이터에 따르면, 전날 미국 ETH 현물 ETF에서 자금 유출입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순유입이 발생한 ETF, 순유출이 발생한 ETF가 없었다. ETH 현물 ETF는 전 거래일인 지난 2일(현지시간) 2,010만 달러 순유입이 발생한 바 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55% / 숏 49.45%

1.바이낸스: 롱 51.26% / 숏 48.74%

2.게이트아이오: 롱 53.04% / 숏 46.96%

3.바이비트: 롱 50.27% / 숏 49.73%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3424만, 청산 비율: 숏 56.64%

ETH 청산 규모: $2333만, 청산 비율: 롱 60.48%

XRP 청산 규모: $804만, 청산 비율: 롱 86.16%

솔레이어, 35% 급락...2달러 선 위태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솔레이어(LAYER)가 단기 급락, 바이낸스 USDT 현물 마켓 기준 35.20% 하락한 2.1 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LAYER는 5일 최고가 3.4303 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분석 "BTC 단기 보유자 매도 전...30% 추가 상승 여지 남아"

크립토퀀트 애널리스트 악셀 애들러 주니어(Axel Adler Jr)가 "비트코인 단기 보유자들은 아직 대규모 매도에 나서고 있지 않으며, 상승 모멘텀은 여전히 축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BTC 단기 보유자들은 가장 공격적인 투자자들로, ETF를 거래하는 전문 트레이더들도 이 그룹에 속해 있다. 과거 강세장에서는 이들의 NUPL(미실현 순손익) 지표가 40%를 넘길 때 본격적인 차익 실현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현재 NUPL은 8% 수준이다. 단기 보유자발 매도 압박이 본격화되려면 최소 30% 이상 상승 여지가 남아 있다는 뜻이다. 기술적으로는 단기 조정세가 나타나고는 있지만, 가격이 중기적으로는 상승할 것이란 지표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BTC $94,000 하회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0.32% 내린 94,428.5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5.06 22:27:24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