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힌먼 연설, 다수 SEC 관계자 'ETH 증권 아니다'에 암묵적 동의 사실 입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워처구루가 "13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한 윌리엄 힌먼 전 기업금융국장의 2018년 연설 관련 내부 이메일 내용에 따르면, 당시 그가 'ETH는 증권이 아니다'라는 발언을 할 때 다수의 SEC 관계자가 그의 연설 내용에 암묵적 동의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당시 연설 초안을 내부적으로 공유한 이메일 중에는 힌먼의 연설이 '현재 제공되고 있는 ETH를 증권으로 규제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포함하고 있다는 내용도 존재했으며, 공유 받은 SEC 임직원 모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리플(XRP)과 SEC 간의 소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SEC의 당시 이메일 내용으로 미뤄볼 때 SEC가 증권에 대한 정의를 맘대로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을 준수하지 못한 기업을 처벌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는 게 워처구루 측의 설명이다.
[하루인베스트먼트 "입출금 중단, 위탁 운영사 허위 정보 제공 정황 탓"]
13일 오전 돌연 입출금 중단을 발표한 가상자산 운용사 하루인베스트(이하 하루) 측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입출금 서비스 중단 조치는 최근 내부 점검 과정에서 위탁 운영사가 제공한 특정 정보가 허위일 수 있다는 의심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루는 "면밀한 조사 후 투자자 보호를 위해 즉각적 거래 중단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현재 해당 사업자에 대한 사실 확인 절차를 진행 중이며, 필요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루 측은 "일부 언론 보도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포함된 점은 유감이다. 특히 '러그풀'(먹튀) 관련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퍼지펭귄, MVP 소울바운드 토큰 출시]
NFT 프로젝트 퍼지펭귄(Pudgy Penguins)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MVP 소울바운드(MVP Soulbound) 토큰을 출시했다고 전했다. MVP는 Most Valuable Penguin의 약자로, 해당 토큰은 커뮤니티 기여도가 높은 구성원에 대한 보상 지급이 목적이다. 커뮤니티는 매달 MVP를 선정하며, 참가자는 소울바운드 토큰을 에어드랍 받게 된다.
[페치에이아이 "폴카닷·코스모스서 자기주권 신원증명 머신 출시"]
블록체인 기반 머신러닝 플랫폼 페치에이아이(Fetch.ai, FET)가 트위터를 통해 "웹3 네트워크 피크(Peaq)와 멀티체인 자기 주권 신원증명 (Self-Sovereign Identity, 개인정보 주체가 정보에 대한 주권을 갖고 자신을 증명한 수단을 직접 결정 및 관리하는 디지털 신원관리체계)머신을 출시했다. 아울러 해당 머신을 폴카닷(DOT), 코스모스(ATOM) 네트워크에 통합했다"고 밝혔다.
[유명 애널리스트 "힌먼 연설문 공개, XRP 소송 영향 미미...ETH에 긍정적"]
블록체인 투자사 시니하인벤처스(Cinneamhain Ventures)의 파트너 애널리스트인 아담 코크란(Adam Cochran)이 힌먼 연설문 공개와 관련 트위터를 통해 "이번 문서 공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XRP) 간 소송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더리움(ETH)에겐 긍정적"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2018년 연설 당시 힌먼은 이더리움이 증권이 아니며, 2차 판매는 증권법이 아닌 거래소법과 상품법상 문제로 다뤄야 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SEC가 2차 판매를 발행자 측이 주도한 증권 판매가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는 데서 중요하다. 투자 계약이 존재한다고 해서 상품이 증권이 되는 것은 아니고, 이를 판매할 때 증권성 여부가 쟁점이 된다. 이는 암호화폐에 대한 SEC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또 "이 문서의 공개는 SEC가 한 때는 ETH가 증권이 아니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리버스 모핑(자산이 증권이 아니었다가 시간이 지나며 증권이 될 수도 있다는 개념)을 인정하는 의미로, 이러한 입장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암호화폐 VC 에덴블록, 골드만삭스 전 파트너 영입]
런던 소재 암호화폐 벤처캐피탈 업체인 에덴블록(Eden Block)이 골드만삭스 전 파트너인 오릿 프리드먼 바이스만(Orit Freedman Weissman)을 영입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20년간 골드만삭스에서 근무한 바이스만은 에덴블록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 유치 등 업무를 맡을 예정이다. 바이스만은 "에덴블록이 제도권에 맞게 변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금융감독청, 비트스탬프·IBKR 암호화폐 기업 등록 승인]
영국 금융감독청(FCA)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스탬프와 미국 온라인 증권사 인터랙티브 브로커스(Interactive Brokers, 이하 IBKR)의 암호화폐 기업 등록을 승인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두 회사가 FCA 암호화폐 관리국 등록을 신청한지 6개월 만이다. FCA는 현재 40개 이상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의 등록을 심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FCA는 지난 1월 암호화폐 기업 등록 관련 가이드를 발표하고 이에 등록해야 영국 내 영업이 가능하다고 공지한 바 있다.
[먹튀 의혹 튀르키예 거래소 토덱스 설립자, 모든 혐의 부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프로토스에 따르면 $20억 고객 자금 유용 혐의를 받고 있는 튀르키예 암호화폐 거래소 토덱스(Thodex) 설립자 파루크 파티 오제(Faruk Fatih Öze)가 법정에 출두해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그는 "회사의 해킹으로 누명을 쓰게됐다"고 주장했다. 파티 오제는 지난해 8월 알바니아에서 체포됐으며, 올해 4월 튀르키예로 송환됐다. 튀르키예 검찰은 그와 토덱스 임원에 40,564년의 형을 구형한 바 있다.
[리플 CEO, 힌먼 연설 공개 이후 "SEC, 악의적 과잉대응" 재차 비판]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XRP) 최고경영자(CEO)가 힌먼 연설문 공개 이후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힌먼 연설이 있던 이후 SEC가 규제 명확성의 부족을 사실상 무기화해온 내용을 보면 그들이 악의적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소속 직원이 고의로 혼란을 야기했는데도 SEC가 미등록 증권 판매 혐의로 나와 크리스 라슨(Chris Larsen) 공동 창업자까지 개인적으로 고소한 것은 개탄스럽고 정치적인 동기를 가진 것이며 과잉대응"이라고 강조했다. 스튜어트 알데로티(Stuart Alderoty) 리플(XRP) 최고법률책임자(CLO)도 트위터를 통해 힌먼 연설문이 가져온 이해상충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를 요구하면서 향후 집행기관의 관할에 맞는 법 적용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미 SEC '규제 거래소 디파이 포함 제정안' 의견 수렴 마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진행한 '규제 대상 거래소에 탈중앙화 거래소 등 디파이 프로토콜을 포함시키는 제정안' 관련 의견 수렴 기한이 마감됐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암호화폐 업계는 해당 의견 수렴을 통해 디파이를 규제 대상 거래소에 포함시킬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로비 단체인 디파이 교육 펀드는 "디파이 프로토콜은 증권 거래소에 해당하는 특징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암호화폐 연구 비영리 기관 코인센터도 "제안된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SEC는 이를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SEC는 지난해 1월 규칙 제정안에서 거래소에 대한 정의에 디파이를 비롯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을 포함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한 의견 수렴은 지난 4월 시작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