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SEC와 계속되는 규제 마찰..."증권법으로 탈중앙화 거래소 규제 못해"]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전통 증권거래소와 동일하게 규제하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칙 제정안 작업에 대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반대 입장을 밝혔다. 폴 그루월 코인베이스 최고법률책임자(CLO)는 14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거래소의 정의를 암호화폐 거래소와 디파이(탈중앙화금융, DeFi)로 확대 적용하기 위한 SEC의 규칙 제정안에 반대하는 서한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SEC는 거래소의 정의를 암호화폐 거래소와 디파이까지 확대해 증권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폴 그루월은 8쪽 분량의 의견서에서 유니스왑 같은 DEX가 전통 증권거래소처럼 당국에 등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리플 CTO, 2017년 XRP 상장피 의혹에 "사실관계 복잡"]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 리플(XRP)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리플 vs SEC 소송 관련 법원 문서에 리플랩스가 2017년 XRP 상장을 위해 6개 거래소에 100만~500만 달러를 지급했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에 대해 "단순한 주장일 뿐 실제 사실관계는 복잡하다"고 밝혔다.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그는 "거래소는 막대한 상장피를 요구할 수 있는데, 리플은 이를 거부할 수도 있다. 그러나 후에 리플이 해당 거래소와 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기회를 발견하면, 이를 위한 비용을 지불하고 해당 거래소를 ODL(XRP 기반 국가간 결제 솔루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돼 거래소에 XRP를 상장할 필요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 XRP 상장을 위한 것이 아닌 ODL 서비스 확장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단 슈워츠는 이것이 단지 가상의 상황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테더 CTO "언제든 USDT 상환해줄 수 있다"]
커브 3풀에서 USDT 비중이 치솟고 있는 현상과 관련해 테더 CTO 파올로 아르도이노가 입을 열었다. 그는 "최근의 불안한 시장 심리를 이용한 공격이 일어나기 쉽다. 하지만 테더는 언제나처럼 준비돼 있다. 공격자들이 얼마나 오든 언제든 USDT를 달러로 바꿔줄 수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앞서 코인니스는 DAI, USDC, USDT 간 스왑을 지원하는 커브(CRV) 3풀에서 24시간 동안 $9900만 USDT가 매도되며 $6440만 규모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USDT 가격이 $0.9991까지 내려갔다고 전한 바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투미, $1500만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투미(Bit2Me)가 15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인베스트코프가 주도했으며, 스페인 최대 통신사 텔레포니카 벤처스, 스트랫마인즈VC, 카르다노, YGG 펀드 등이 함께 참여했다. 투자금은 스페인 및 라틴아메리카 신규 고객 확보에 사용될 예정이다.
[해시플로우 "익스플로잇 피해자에 전액 배상"]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플로우(HFT)가 최근 발생한 60만 달러 상당의 익스플로잇과 관련해 "피해자는 전액 배상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펙실드 측은 "해커가 화이트햇 해커일 수 있다"고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HFT는 현재 4.53% 내린 0.340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제미니 창업자 "1933년 증권법, 암호화폐에 적용해선 안돼"]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 창업자 중 하나인 카메론 윙클보스(Cameron Winklevoss)가 트위터를 통해 "1933년 만들어진 증권법은 암호화폐 산업 규제에 적용할 수 없다. 현재 증권법이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고, 개선하지 않으면 미국은 뒤처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뒤처진다는 것은 산업이 해외로 이동하는 것, 인재 유출과 일자리 손실, 안보 위협 등을 뜻한다. 미국은 미래 금융 혁신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코인베이스 '스탠드 위드 크립토' NFT 발행량 15만개 돌파]
코인베이스가 암호화폐 커뮤니티 단결을 위해 만든 NFT '스탠드 위드 크립토(Stand with Crypto)'의 발행량이 15만개를 넘어섰다. 해당 NFT는 지난 4월 25일 발행을 시작했으며 SEC 제소 직후인 지난 7일 기준 발행량은 13만개였다. 약 일주일 만에 2만여개가 새로 발행된 셈이다.
[팍스풀, 출금 이슈에 "문제 해결 중"]
최근 운영을 재개한 P2P 암호화폐 거래소 팍스풀(Paxful)에서 출금이 원활히 안되고 있다는 글이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한 트위터 유저가 24시간 동안 출금이 안되고 있다고 지적하자 팍스풀 공식 트위터 계정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는 답글을 달았다.
[신세틱스 메인넷에 체인링크 CCIP 도입 추진]
신세틱스(SNX) 커뮤니티 회원 그리프(Griff)가 트위터를 통해 "신세틱스에서 체인링크 자체 크로스체인 상호운용 프로토콜 CCIP를 활용하는 안건 SIP 311이 상정됐다"고 밝혔다. CCIP를 활용해 체인 간 신세틱스 유동성을 원활하게 전송하는 게 목표다. 신세틱스의 텔레포터(Teleporters)와 CCIP는 한동안 테스트넷에서 운영돼 왔다. SIP 311이 정식 통과되면 메인넷에 CCIP가 도입된다.
[매니폴드, 옵티미즘 메인넷서 NFT 민팅 지원]
NFT 발행 플랫폼 매니폴드(Manifold)는 오늘 새벽 옵티미즘 메인넷에서 NFT 민팅을 지원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매니폴드는 일정 자격을 갖춘(6월 12일 스냅샷 이전 이더리움 매니폴드 스튜디오에서 컨트랙트를 배포한) 크리에이터에게 옵티미즘에서 $6.90 ETH를 지급하고 있다. Manifold-Optimism Creator NFT를 클레임할 시 보상이 지급된다.
[미 법무부, SBF 8개 초기 혐의에 대해서만 재판하기로 합의]
미국 법무부가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에게 지난해 12월 제기된 혐의 8가지(FTX 고객 대상 사기 등)에 대해서만 재판하기로 합의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SBF는 총 13건 혐의를 받고 있지만 이 중 5건은 지난 2월과 3월 추가된 것으로, SBF 측 변호인단은 "검찰이 제기한 추가 혐의(중국 공무원에 뇌물 공여, 선거자금법 위반, 금융사기 무허가 송금 서비스 운영 등)는 바하마에서 피고가 인도될 당시 기소장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으로 범죄인 인도 조약 위반이니 기각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한 바 있다. 다만 검찰 측은 추가 혐의에 대해 오는 10월 기존 재판 대신 2024년 1분기 추가 재판을 요청했다.
[비트멕스 CEO "홍콩, 가상자산 방면에서 싱가포르보다 약간 앞서"]
홍콩경제일보에 따르면 비트멕스 CEO 스테판 루츠는 가상자산 방면에서 홍콩이 싱가포르보다 약간 앞서 있다며 홍콩이 향후 6~12개월 내 해외 가상자산 기업들을 유치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홍콩 증권선물위원회의 규제 방식이 유럽과 다르며 일반 대중의 이익 보호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USDT 퍼드 타임...커브 3풀서 24시간 동안 $1억 가까이 매도"]
블록체인 분석업체 0xScope에 따르면 DAI, USDC, USDT 간 스왑을 지원하는 커브(CRV) 3풀에서 24시간 동안 $9900만 USDT가 매도되며 $6440만 규모 순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동안에는 $2.05억 USDT가 매도되며 총 1.3억 달러가 순유출됐다. 커브 3풀에서 USDT 비중은 54%(기사 작성 시점 61.49%)로, 불균형이 일어나고 있다. 0xScope는 "다시 한 번 USDT 퍼드의 시간이 왔다"고 전했다. 현재 커브 3풀에서 USDT 가격은 $0.9991다.
[망고마켓 해커 재판일 12/4]
지난해 솔라나(SOL)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망고마켓(MNGO)을 타깃으로 취약점 공격을 벌여 약 1.14억 달러 암호화폐를 훔친 해커 아브라함 아이젠버그(Avraham Eisenberg)에 대한 재판이 오는 12월 4일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검찰은 아이젠버그가 망고마켓 내 선물거래 가격을 조작했다고 보고 있지만, 아이젠버그는 "수익성 높은 트레이딩 전략을 썼을 뿐"이라며 무죄를 주장하고 있다. 앞서 망고마켓 측은 "아이젠버그가 강압해 1.14억 달러 중 6700만 달러만 돌려주겠다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무효"라며 민사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현재 아이젠버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SFTC)에 의해서도 피소된 상태이며 뉴저지 뉴어크 교도소에 수감 중이다. 블룸버그는 "그는 통신망을 이용한 사기 혐의로 최고 징역 20년을 선고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암호화폐 유동성 프로토콜 파이크파이낸스, 베이스에 출시 예정]
암호화폐 유동성 프로토콜 파이크파이낸스(Pike Finance)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코인베이스의 레이어2 블록체인 베이스(Base)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이크파이낸스는 블록체인간 통신 지원 프로토콜 웜홀과 서클 크로스체인 전송 프로토콜인 CCTP 등을 지원하며, 사용자가 타 블록체인 이용을 위해 브릿징할 필요 없이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분석 "점프트레이딩 커스터디 지갑서 5일간 $22억 상당 ETH 이동"]
블록체인 분석업체 0xScope가 트위터를 통해 "점프 트레이딩의 로빈후드 커스터디 지갑에서 이더리움(ETH)이 움직이고 있다. 지난 5일 동안 133만 ETH(22억 달러 상당)가 커스터디 지갑에서 새로운 지갑으로 이체됐다. 15일 6시 50분(한국시간) 경에는 112만 ETH(1.85억 달러 상당)가 움직였다"고 전했다.
[커브파이낸스 창업자, 4.31억 CRV 담보로 1억 스테이블코인 차입]
룩온체인에 따르면 커브파이낸스(CRV) 창업자 마이클 이고로프(Michael Egorov)가 총 4.31억 CRV($2.46억 상당)를 담보로 여러 플랫폼에서 1억 150만 달러 상당 스테이블코인을 차입했다.
아베: $1.66억 CRV 담보로 6344만 USDT 차입
아브라카다브라: $4565만 CRV 담보로 2050만 MIM 차입
프랙스렌드: $2682만 CRV 담보로 1286만 FRAX 차입
인버스: $927만 CRV 담보로 468만 DOLA 차입
[아이겐레이어 유동성 리스테이킹 입금 한도 도달]
오데일리에 따르면 오늘 오전 이더리움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아이겐레이어(Eigen Layer)가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스테이지1 프로토콜을 배포, 유동성 리스테이킹, 네이티브 리스테이킹 지원을 시작한 가운데, 유동성 리스테이킹 자산 stETH, rETH, cbETHTVL 입금량이 이미 한도(9600 ETH)에 도달했다. 네이티브 리스테이킹의 경우 입금량이 384 ETH라서 아직 한도(9600 ETH) 도달까지 넉넉한 상태다.
[ETH, 1570달러 반납시 47300stETH 강제 청산]
디파이라마 데이터에 따르면 ETH가 1570달러까지 떨어졌을 때 7,450만달러 상당 stETH 47300개가 강제 청산될 수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5.52% 내린 1649.7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애널리스트 "USDT 가격 추가 하락 시 유니스왑 v3 유동성 83% 감소 전망"]
블록웍스 리서치 수석 애널리스트인 댄 스미스(Dan Smith)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현재 유니스왑 v3 유동성 상황이 좋지 않다. USDT의 가격이 1틱($0.0001)더 내려갈 경우 유동성은 83%까지 감소할 수 있다. 현재 USDT가격은 0.9996 달러이다"라고 전했다.
[오픈씨 프로, 수도스왑 V2와 연동]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 프로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NFT AMM 프로토콜 수도스왑(Sudoswap) V2와의 통합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오픈씨 프로에서도 수도스왑 V2에 리스팅된 NFT를 구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