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해커들이 4월 한 달 동안 1,460억 원(약 9,200만 달러) 이상의 디지털 자산을 탈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려는 업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킹 사건이 끊이지 않으면서 암호화폐 산업의 대중적 신뢰는 여전히 위협받고 있다.
블록체인 보안업체 이뮤너파이(Immunefi)가 4월 30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총 15건의 해킹 사고에서 총합 9,200만 달러(약 1,460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는 3월 발생한 4,100만 달러(약 600억 원) 규모 피해보다 무려 124% 증가한 수치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급증세가 보안 취약성을 노린 사이버 범죄자들의 전략적 활동 증가와 무관하지 않다고 분석한다. 특히 디파이(DeFi) 플랫폼과 브릿지, NFT 기반 프로젝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킹 수법이 정교해지고 있어, 시장 전체의 보안 관리 능력이 시험대에 오른 상황이다.
최근 미국 대선과 관련해 친암호화폐 기조를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이 규제완화와 산업 육성책을 예고한 가운데, 대중 인식의 회복과 제도권 신뢰 확보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 대규모 해킹 사태는 이런 흐름에 역행하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이뮤너파이는 보고서를 통해 "보안 강화를 위한 기술적 투자가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형 프로젝트들이 여전히 해커들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며 향후 몇 개월간 공격 빈도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암호화폐 산업의 성장이 제도권 진입과 맞물려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이와 같은 보안 리스크에 대한 체계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새 행정부 출범 직후 공약으로 제시한 규제 개선과 국가 암호화폐 준비금 검토 등은 보완간 행동계획 없는 낙관론만으로는 실행되기 어렵다는 현실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