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당국이 자금세탁 및 범죄자금 유통 혐의를 받는 암호화폐 교환 플랫폼 eXch로부터 3820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와 서버 인프라를 압수했다고 밝혔다.
9일(현지시간) 더블록(The Block)에 따르면, 프랑크푸르트 검찰청은 익명 기반 암호화폐 교환 플랫폼 eXch의 서버와 자산을 압수하고 수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당국은 4월 30일, 플랫폼의 자산 폐쇄 하루 전날 총 3400만 유로(약 3820만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라이트코인(LTC), 대시(DASH) 등을 압수했으며, 독일 내 서버와 8테라바이트(TB)의 데이터도 확보했다.
eXch는 2014년부터 운영된 암호화폐 교환 플랫폼으로, 고객 신원 확인(KYC)이나 자금세탁방지(AML) 절차 없이 익명 거래만을 지원해왔다. 독일 검찰은 이 플랫폼이 다크웹 등 범죄 커뮤니티에 'AML 미적용'을 명확히 홍보해왔다고 지적했다. 당국에 따르면 지금까지 약 19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가 eXch를 통해 유통됐으며, 이 중 상당수는 범죄 기원 자금으로 추정된다.
특히 eXch는 북한 해커 조직 라자루스 그룹이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빗(Bybit) 해킹을 통해 탈취한 14억 달러 중 일부 자금을 세탁하는 경로로 사용된 정황도 드러났다. 이에 따라 독일 당국은 eXch 운영진을 상업적 자금세탁 및 온라인 범죄거래 플랫폼 운영 혐의로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eXch는 지난 4월 중순 운영 종료를 예고하며 5월 1일부로 플랫폼을 폐쇄했지만, 독일 당국은 이를 사전에 파악하고 폐쇄 하루 전 주요 자산과 증거를 확보했다. 당시 운영진은 “프라이버시 중심 운영이 범죄로 몰리고 있다”며 반발했으며, "제3자 API를 통한 형식적인 AML/KYC가 자금세탁을 막을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독일 검찰은 eXch의 운영 방식이 국제 금융 범죄에 활용된 명백한 정황이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