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김프 리포트] HIFI, 펀딩비 차익 거래 전략 강세... 연간 수익 5만 달러 이상 기대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6
8

5월 11일 기준, HIFI가 펀딩비 차익 거래 전략에서 높은 수익률을 보이며 투자자 주목을 받고 있다. 음수 펀딩비를 활용한 선물 롱 포지션 및 마진 숏 조합이 핵심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기한 스왑의 펀딩비율 순위 / 데이터맥시플러스

무기한 선물은 투자 심리에 따라 현물과 가격 차이가 생긴다. 선물 시장은 펀딩비(Funding Rate)를 통해 이러한 가격차를 조정한다. 선물 가격이 높으면 롱이 숏에게, 낮으면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해 현물과 선물 가격 균형을 맞춘다. 이 구조를 활용,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을 잡아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헤징한 상태에서 펀딩비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전략이 있다.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높은 펀딩비로 수익 기회를 나타내는 상위 종목들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5월 11일 12시10분 기준,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가장 높은 펀딩비 수익을 보이는 종목은 게이트아이오의 JAILSTOOL이다. 해당 종목의 마진 숏은 0.0047005달러, 선물 롱 가격은 0.0045845달러로 -0.5383%의 펀딩비가 적용되며, 연환산 기준 약 11.79%, 연간 수익은 약 58,865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뒤를 잇는 전략은 바이낸스의 HIFI 마진 숏과 선물 롱 조합으로, -0.5234%의 펀딩비를 바탕으로 연간 수익 57,240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HIFI는 바이낸스 외에도 비트겟, 게이트아이오, MEXC 등 다양한 거래소 조합에서도 유사한 수익률을 제공 중이다. 특히 MEXC 선물과 게이트아이오 현물 조합에서는 연 11.46%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바이낸스 현물과 MEXC 선물, 비트겟 현물과 MEXC 선물을 조합한 전략 역시 연간 약 57,235달러의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트겟 단일 거래소 내에서 구성된 HIFI 포지션도 -0.5216%의 펀딩비로 약 57,038달러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펀딩비 기반 차익 거래 전략의 중심에는 HIFI가 있으며, 전체 상위 10개 전략 중 9개를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선물 포지션은 깊은 음수 펀딩비를 보이며, 현물의 마진 숏을 통해 가격 변동성을 효과적으로 헷지하고 있다.

트레이더는 펀딩비 수익에서 마진 이자 및 수수료를 차감한 순수익 기준으로 전략을 설계해야 한다. 최근와 같이 음의 펀딩 구조가 두드러진 시기에는 짧은 기간에도 빠른 수익 실현이 가능해 진입 장벽이 낮은 기회를 제공한다.

하위 펀딩 비율

최고·최저 펀딩비 / 데이터맥시플러스

이 시각 최고·최저 펀딩비 종목

🔼 최고 펀딩비 상위 5종목

▲ HTX의 XMR (0.3325%)

▲ 게이트아이오의 WING (0.251%)

▲ 게이트아이오의 PYR (0.1397%)

▲ 비트겟의 FET (0.1265%)

▲ HTX의 KOMA (0.1092%)

🔽 최저 펀딩비 하위 5종목

▲ 게이트아이오의 WING (-7.0195%)

▲ HTX의 XMR (-0.4679%)

▲ 게이트아이오의 PYR (-0.4297%)

▲ 비트겟의 FET (0.0598%)

▲ HTX의 KOMA (0.0200%)

펀딩비가 높거나 양수일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높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상황으로,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는 현물 매수와 선물 숏(공매도) 전략을 구사해 펀딩비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아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현물 매도와 선물 롱 전략을 활용해 펀딩비 차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시장 변동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와 자금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6

추천

8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3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가즈아리가또

03:10

등급 아이콘

legoboss

01:12

등급 아이콘

StarB

00:06

댓글 6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가즈아리가또

2025.05.12 03:10:2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legoboss

2025.05.12 01:12:2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5.11 19:59:3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5.05.11 19:19:0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흰토끼를따라가라

2025.05.11 16:26:17

후속기사 원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흰토끼를따라가라

2025.05.11 16:26:1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