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젤렌스키 정장 논란…570만 달러 쏠린 폴리마켓 베팅 '결과 불확실'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젤렌스키 대통령의 복장을 두고 폴리마켓에서 정장 여부를 놓고 570만 달러 규모의 베팅이 진행됐으며 결과 발표가 보류됐다. AI와 전문가 의견이 엇갈리며 예측 시장의 판단 기준에 논란이 일고 있다.

 젤렌스키 정장 논란…570만 달러 쏠린 폴리마켓 베팅 '결과 불확실' / TokenPost AI

젤렌스키 정장 논란…570만 달러 쏠린 폴리마켓 베팅 '결과 불확실' / TokenPost AI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복장이 한 암호화폐 기반 예측 플랫폼에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지난 6월 24일 네덜란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담에 참석한 젤렌스키 대통령이 입은 옷이 과연 ‘정장’이었는지를 두고, 폴리마켓(Polymarket) 사용자들 사이에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폴리마켓은 사용자들이 실제 사건에 대해 베팅할 수 있는 크립토 기반의 예측 시장이다. 한 사용자는 5월 22일부터 6월 30일 사이에 젤렌스키가 정장을 입은 모습이 사진이나 영상으로 포착될지를 두고 ‘정장 착용 여부’ 베팅 시장을 개설했다. 예상 외로 이 시장은 570만 달러(약 79억 2,300만 원) 가까운 거래량을 기록하며 큰 관심을 끌었다.

해당 이벤트는 초기에 ‘정장 착용’으로 결론이 났으나, 이후 두 차례에 걸쳐 이의가 제기되면서 최종 결과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폴리마켓은 7월 1일 기준 “신뢰할 만한 보도들 사이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정장을 입었는지에 대한 합의가 없다”고 밝혀, 판단을 미뤘다.

소셜미디어에서는 젤렌스키의 복장을 정장으로 볼 수 있는지를 두고 팽팽한 의견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찬성 측은 해당 복장이 동일한 색감과 천으로 제작돼 격식 있는 인상을 준다며 옷의 재단 방식이나 구체적 디테일은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반면 반대 의견은 젤렌스키가 입은 것이 블랙 셔츠에 비정형 블레이저 재킷으로 보이며, 운동화를 신은 점 또한 전통적인 정장의 기준에서 벗어난다고 평가한다.

폴리마켓의 커뮤니티 계정인 ‘폴리마켓 인텔(Polymarket Intel)’은 그의 복장을 정장으로 분류한 바 있다. 한편, 코인텔레그래프가 생성형 AI 챗GPT에 같은 질문을 했을 때, AI는 해당 복장이 “전통적 의미의 정장은 아니다”라며, 군 스타일의 야상 또는 전술 자켓으로 분류했다.

이 논쟁은 단순한 패션 문제를 넘어 예측 시장에서 ‘사실 기반’ 판별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잘 보여준다. 디지털 시대, 특히 암호화폐를 활용한 베팅 생태계에서는 작은 사건 하나가 수십억 원대의 거래를 촉발할 수 있으며, 그 해석에 따라 손실과 이익이 엇갈릴 수 있다. 이런 현상은 트럼프 대통령 등을 둘러싼 정치적 사건들에서 보듯, 향후 더 자주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흰토끼를따라가라

15:54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