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사토시 시대’ 비트코인 2조 7,510억 원 이동…14년 침묵 깬 고래 지갑들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5

2011년 생성된 고래 지갑들에서 약 2조 7,510억 원 규모 비트코인이 대거 이동했다. 전문가들은 이 현상이 시장 유동성과 규제 압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사토시 시대’ 비트코인 2조 7,510억 원 이동…14년 침묵 깬 고래 지갑들 / TokenPost Ai

‘사토시 시대’ 비트코인 2조 7,510억 원 이동…14년 침묵 깬 고래 지갑들 / TokenPost Ai

14년간 잠자고 있던 사토시 시대 비트코인(BTC) 지갑들이 최근 한꺼번에 깨어나며 약 2조 7,510억 원(20억 달러) 상당의 자산이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움직임은 오래된 고래 주소들에서 이뤄진 것으로, 단일 지갑마다 10,000 BTC(약 1조 3,900억 원) 이상을 보유하고 있었다.

온체인 분석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지난 금요일 한 지갑에서 무려 10,000 BTC가 이동한 데 이어 두 번째 고래 지갑도 이와 유사한 규모의 이체를 단행했다. 이 지갑들은 모두 2011년 4월, 비트코인이 단 1코인당 약 1달러(약 1,390원)에 거래되던 시기에 생성된 오래된 주소로, 당시 가격보다 약 10만 배가 넘는 수익 실현이 이뤄진 셈이다.

이번 사건은 최근 블룸버그가 보도한 '비트코인 권력 이동(The Great Switchover)'과 맞물려 관심을 모으고 있다. 10x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오랜 기간 보유 중이던 비트코인 고래들이 무려 50만 BTC(약 69조 5,000억 원) 이상을 시장에 쏟아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일부를 주식시장 등으로 옮기며 *자산 다각화*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러한 고래들은 초기 채굴자, 오프쇼어 헤지펀드, 조세회피지역에 등록된 자산운용사 등 익명성과 구조적인 이점을 가진 주체들이라는 점에서 시장 내 불확실성을 키운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대규모 매도세가 지속되면서 가격 반등이 제한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번 대규모 이체는 비트코인이 안전 자산으로 재조명받는 과정에서도 여전히 시장 내 유동성 변수와 심리적 저항선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사례다. 비트코인의 현재 거래 가격은 약 109,000달러(약 1억 5,151만 원)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한편, 시장에서는 이 같은 고래들의 움직임이 향후 자금세탁 방지 강화 및 기관 투명성 제고 요구를 더욱 부추길 것으로 보고 있다. 14년 만에 깨어난 비트코인들의 행선지와 그 배경에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WayneKIM

09:52

등급

가즈아리가또

00:35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