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14년간 잠든 비트코인 2만 개 이동… 약 4.1조 원 규모 온체인 충격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2011년 생성된 비트코인 지갑 두 개에서 2만 BTC(약 4조 1,472억 원)가 이동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당 이동이 매각 목적일 가능성이 높지만, 하락 신호로 보긴 이르다고 분석했다.

 14년간 잠든 비트코인 2만 개 이동… 약 4.1조 원 규모 온체인 충격 / TokenPost Ai

14년간 잠든 비트코인 2만 개 이동… 약 4.1조 원 규모 온체인 충격 / TokenPost Ai

14년 넘게 잠들어 있던 비트코인(BTC) 지갑 2개에서 총 2만 BTC가 갑작스럽게 이동하며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번 이동은 약 29억 8,000만 달러(약 4조 1,472억 원) 규모로, 극히 이례적인 온체인 활동으로 여겨진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은 이 두 지갑이 각각 1만 BTC를 30분 간격으로 이체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갑들은 2011년 4월 3일에 만들어졌으며,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개당 0.78달러(약 1,100원)에 불과했다. 이 지갑들이 받은 전체 금액은 당시 기준으로 약 1만 5,600달러(약 2,168만 원)에 불과했지만, 현재 가치는 수천 배 이상 상승한 상태다.

지갑의 소유자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며, 왜 14년간 보관하던 자금을 지금 이동했는지도 분명치 않다. 하지만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이처럼 오래된 비트코인이 움직일 경우, 초기 채굴자 또는 기관 수준의 대량 매각 가능성을 둘러싸고 다양한 추측이 쏟아진다. 이번 이체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가격은 10만 8,000달러(약 1억 5,012만 원) 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시장은 일단 높은 변동성을 보이진 않았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이번 사건을 단순한 내부 지갑 재정비나 보안상 주소 변경보다는 실제 매매를 목적으로 한 자산 이동으로 분석하고 있다. 회사 측은 “이번 움직임은 10년 이상 비활성 상태였던 보유자 중 가장 큰 규모의 온체인 이동”이라며, “▲FTX 사태 직후 이동된 3,700 BTC 기록을 상회했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립토퀀트는 이런 오래된 지갑의 활동이 곧바로 시장 하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오히려稀有하고 의미 있는 온체인 발자취로 판단된다는 것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가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인 11만 8,000달러(약 1억 6,402만 원)에 가까워질 수 있는 시그널일지에 주목하고 있다. 다른 어떤 때보다 신중한 관찰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릴라당

07:28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7.05 07:28:2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