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데이터랩에 따르면 7월 7일 17시 7분 기준, 전체 22개 섹터 중 12개가 상승하며 알트코인 시장에 완만한 회복 흐름이 나타났다. 나머지 10개는 하락세를 보였으며, 테마 간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인 테마는 의료(+1.24%)다. 해당 섹터에서 히포프로토콜이 +2.34%, 메디블록이 +0.14% 상승했다. 뒤를 이어 소셜/DAO(+0.93%) 섹터는 코박토큰이 +10.20%로 급등했으며 헌트(+1.89%), 스팀(+1.14%) 등도 동반 상승했다.
오라클(+0.88%) 테마에서는 레드스톤이 +8.27%, 체인링크(+0.87%), 피스네트워크(+0.66%) 등이 오름세를 나타냈다.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0.75%)은 폴리매쉬(+1.25%), 헤데라(+0.78%), 알트레이어(+0.46%) 등이 고르게 상승했다.
이외에도 광고(+0.69%) 섹터에서는 밀크(+0.82%)와 베이직어텐션토큰(+0.63%)이, 팬토큰(+0.65%) 섹터에서는 칠리즈(+1.04%), 유벤투스(+0.40%)가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가장 큰 낙폭을 보인 섹터는 월렛/메시징(–1.42%)으로, 세이프(–3.39%), 하이퍼체인(–3.20%), 마스크네트워크(–0.05%)의 약세가 눈에 띄었다. 이어 스테이블 코인 연관 자산(–1.28%) 섹터에서는 스카이프로토콜(–1.45%), 저스트(–0.40%)가 하락했다.
렌딩(–0.58%) 섹터에서는 스트라이크(–6.68%), 에이브(–0.54%), 컴파운드(–0.33%)가 모두 하락했으며, 유동화 스테이킹/리스테이킹(–0.42%)에서는 오리진프로토콜(–2.20%)을 비롯해 지토(–0.53%), 펜들(–0.30%)이 하락 흐름을 보였다. 데이터 인프라(–0.20%)도 포켓네트워크(–6.02%), 카브(–3.97%), 카이토(–1.55%) 등 중심으로 낙폭을 키웠다.
대형 섹터 흐름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인프라 섹터는 종목별 등락이 엇갈리며 안정성이 낮은 흐름을 보였고, 디파이는 다수 종목이 하락세를 나타냈다.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은 보합권 움직임을, 지급결제 인프라는 –0.07% 하락하며 약보합세를 보였다.
상승 섹터의 상승폭이 전반적으로 제한적인 가운데, 하락 섹터에서는 일부 종목이 큰 낙폭을 보이며 테마별 양극화가 더욱 뚜렷한 모습이다. 시장은 뚜렷한 주도 섹터 없이 종목별 선별적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