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최근 2,220달러(약 3,089만 원) 지지선에서 반등하면서 2,600달러(약 3,614만 원) 선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기술적 지표는 중기 상승세 유지를 시사하지만, 주요 저항 구간을 앞두고 추가 상승에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일간 차트 기준으로, ETH는 200일 이동평균선인 2,400달러(약 3,336만 원)를 회복한 뒤 이를 상회하며 꾸준히 상승 중이다. 지난 랠리는 2,800달러(약 3,892만 원) 부근에서 유동성 사냥 이후 반락했으며, 현재는 해당 공급 영역 바로 아래에서 다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 만약 2,700달러(약 3,753만 원) 이상으로 일간 종가가 형성된다면, 단기 고점인 2,880달러(약 4,003만 원) 재도전과 함께 3,000달러(약 4,170만 원) 돌파 시도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4시간 차트에서는 상승 쐐기 형태가 드러나는 가운데, ETH는 2,700달러 저항선 인근에서 매물벽에 직면해 있다. 기술적으로는 강한 매수 모멘텀을 나타내고 있으나, 쐐기형 패턴 특성상 지지 이탈 시 하락 리스크도 존재한다. 2,500~2,550달러(약 3,475만~3,545만 원) 구간이 단기 핵심 지지선이며, 이 영역 붕괴 시 2,300달러(약 3,197만 원) 부근 유동성 풀로 하락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반대로 거래량을 동반한 2,700달러 돌파는 쐐기 패턴 무효화와 함께 상승 여력을 추가로 열어줄 수 있다.
온체인 데이터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더리움의 거래소 보유량은 1,893만 개 수준으로 최근 수년 내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누적과 자체 보관이 이뤄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단기 공급 압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에서 가격에는 긍정적일 수 있다.
현재 시장 전반적인 분위기는 점진적으로 낙관적으로 바뀌고 있으나, 개별 투자자들과 고래의 강력한 매수세는 아직 감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기적 상방 돌파를 위해서는 숏 포지션 청산과 더불어 스팟 시장 기반의 수요 상승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더리움이 3,000달러 고지를 향해 상승할 준비가 되었다는 시각이 유효하려면,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지표 간의 공조와 함께 외부 촉매의 등장이 관건이다. 아직은 완전한 돌파를 장담하긴 이르지만, 각종 지표들은 점차 상승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