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사상 최고가 경신 이후 민감한 고비를 맞이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대해 30%의 고율 관세를 전격 선언하면서,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이 다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정학적 긴장이 비트코인의 시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현지시간 7월 12일, 트럼프 대통령은 EU 전체와 멕시코에 대해 3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상대국이 보복 조치를 할 경우, 해당 보복 수준만큼 추가 관세를 붙이겠다"고 경고했다. 이 조치는 오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트럼프는 EU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에게 보낸 서한에서 "미국은 EU와의 무역에서 큰 적자를 보고 있으며, 이를 시정하기 위한 ‘공정하고 균형 잡힌 무역’ 방안"이라고 해당 정책을 제시했다.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파르도에게 보낸 별도의 서한에도 동일한 메시지를 담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모두에게 개방된 미국 시장 접근을 요구했으며, 이를 거부할 경우 기존 30% 관세 외 추가적 압박이 있을 수 있음을 강조했다.
흥미로운 점은, 이 같은 관세 이슈가 가상자산 시장에 직접적인 파장을 준 전례가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 4월, 트럼프가 사실상 대부분 국가에 관세 폭탄을 선언했을 당시, 비트코인은 10만 달러(약 1억 3,900만 원) 이상에서 7만 5,000달러(약 1억 427만 원) 이하로 급락하며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 반등세는 강렬했다. 관세 이슈가 소강 국면에 접어들면서 BTC는 급격히 회복해 이번 주 초엔 11만 9,000달러(약 1억 6,541만 원)를 터치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번 관세 조치가 ‘중기 조정’으로 이어질지, 아니면 지속적인 상승 모멘텀을 유지할지는 아직 가늠하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은 글로벌 위험 피난처 자산이라는 정체성과 더불어 미국의 외교정책 발언에도 민감하게 반응해왔다"며, "향후 EU나 멕시코의 대응 방향에 따라 암호자산 시장 분위기가 스윙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결과적으로 비트코인의 다음 행보는 단순한 가격 차트를 넘어, 미국과 주요 교역국 간 무역 긴장의 향방에 따라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시장은 이제 트럼프의 다음 메시지만을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