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파이코인, 0.467달러로 하락…거래량 80% 급증 속 약세 지속

프로필
이도현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파이코인(PI)이 0.467달러로 하락하며 역사적 저점 근처까지 떨어진 가운데, 24시간 거래량은 80% 급증했다. 대규모 토큰 언락과 거래소 순유입으로 인한 매도 압력, 그리고 불확실한 메인넷 출시 일정이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술적 지표도 추가 하락 가능성을 시사하며, 향후 공식적인 로드맵 발표 여부가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파이코인, 0.467달러로 하락…거래량 80% 급증 속 약세 지속 / 셔터스톡

파이코인, 0.467달러로 하락…거래량 80% 급증 속 약세 지속 / 셔터스톡

가격 하락과 거래량 급증

파이코인(PI)은 최근 24시간 동안 약 0.8% 하락해 현재 약 0.46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역사적 저점인 0.40달러 수준에 근접한 가격이며, 2주 기준으로는 29% 이상 하락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이 상승한 주요 암호화폐 시장 대비 부진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주목할 점은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거래량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최근 24시간 동안 파이코인 거래량은 약 7천만 달러로 전일 대비 약 80% 증가했다. 하락세 속 거래량 증가 조합은 시장 참가자들이 특정 가격 구간에서 심리적 저항이나 지지선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토큰 언락과 매도 압력

가장 큰 하락 요인 중 하나는 7월 8일부터 15일까지 진행 중인 대규모 토큰 언락이다. 이 기간 동안 약 1억 개 이상의 파이코인, 즉 전체 공급량의 약 1.5%가 새롭게 유통시장에 풀리면서, 초기 보유자들이 매도에 나서며 매도 압력이 가중된 것으로 보인다.

Bitget, MEXC, Gate.io 같은 중앙화 거래소에서는 토큰의 순유입이 확인되어, 보유자들이 자산을 거래소로 이동해 매도 준비를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파이코인 가격에 대한 하향 압력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기술적 지표는 약세 신호

기술적 분석에서도 파이코인의 하락 여력은 여전히 존재한다. 현재 PI는 하락 추세 채널 내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상대강도지수(RSI)는 39 수준으로, 과매도 국면에 가까워지고 있지만 상승 전환을 위한 뚜렷한 모멘텀은 부족한 상태다.

가격은 $0.5155(약 51센트) 수준에서 반복적인 저항에 부딪히고 있으며, 추가적인 상승 여력이 제한된 것으로 분석된다. 기술적 관점에서는 강력한 상승 모멘텀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가격은 0.40달러 또는 그 이하로 더 하락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편, MACD 지표는 중립적이나 음수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하락세를 지지하고 있다.

생태계 및 메인넷 출시 루머

파이 네트워크 커뮤니티 내부에서는 최근 진행된 상징적인 토큰 전송과 관련한 루머가 무성하다. 특히 프로젝트 명칭과 관련된 3.14 PI의 동일한 두 건의 트랜잭션이 관찰되었으며, 이 거래는 과거 대규모 토큰 이동을 여러 차례 수행한 지갑 주소에 의해 실행된 것이 확인됐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트랜잭션이 내부 커뮤니케이션일 가능성, 또는 오랫동안 시장이 기대해 온 메인넷 출시와 관련된 암시일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다만, 현재까지 개발팀 또는 공식 채널을 통한 명확한 로드맵 업데이트나 메인넷 관련 발표는 없는 상태다.

시장 현황

2025년 7월 13일 기준 파이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35억 8천만 달러이며, 암호화폐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3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유통 중인 공급량은 약 76억 9천만 PI이며, 총 공급량은 1천억 PI로 설정되어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파이코인의 가격 움직임이 현재로서는 대규모 토큰 언락에 따른 매도 압력과 내부 시그널로 보이는 상징적 거래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메인넷 출시와 같은 이슈가 공식화되지 않는 한 가격의 불확실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전망

향후 파이코인 투자자들은 추가적인 토큰 언락 규모와 일정, 그리고 공식적인 개발 소식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 만약 메인넷 가동 또는 생태계 확대에 대한 명확한 진전이 확인된다면, 이는 시장의 신뢰 회복 및 가격 반등의 촉매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StarB

00:05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