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현재, 비트코인(BTC)의 시장 기반은 더욱 견고해지고 있다. 미국 내 현물 ETF로 유입되는 자금은 연일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거래소 보유량은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신뢰와 장기 보유에 대한 기대가 동시에 커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특히 이번 달 투자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은 사건은 2011년 이후 단 한 번도 움직이지 않던 두 개의 지갑에서 약 2만 BTC(약 2조 9,180억 원)가 갑작스럽게 이동한 것이다. 이 비트코인들은 거래소로 보내진 것이 아니라, 정체불명의 새로운 주소로 이전됐다. 이로 인해 수면 아래 잠들어 있던 고래들의 움직임이 투자자들의 시선을 다시금 집중시키고 있다.
이처럼 장기 미사용 지갑이 깨어나고, ETF 중심의 수요가 달아오르면서, 올해도 어김없이 떠오른 질문은 바로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주체는 누구인가다. 2025년 기준,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주체는 거래소, ETF, 기업, 그리고 크립토 억만장자 등 다양한 층위에서 구조적으로 분포돼 있다.
우선 거래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바이낸스와 로빈후드가 세계 최대 BTC 보유 거래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업 부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Nasdaq: MSTR)가 약 60만 BTC(약 87조 4,800억 원)를 보유하며 단연 선두를 달리고 있다. 국가지도 점차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미국 정부는 압수 자산 등을 통해 현재 20만 7,189 BTC(약 30조 1,200억 원)를 확보해 세계 최대의 국가 단위 보유량을 기록 중이다.
눈길을 끄는 또 하나의 흐름은 ‘중간 규모’ 지갑 주소의 증가다. 이는 일반 투자자를 중심으로 비트코인 채택이 보다 넓은 대중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비트코인을 둘러싼 소유권 구조는 여전히 고도로 집중화돼 있지만, 시장은 새로운 국면으로 빠르게 진입 중이다. ETF의 확산, 국가 차원의 보유 확대, 그리고 장기 미사용 고래의 활동 재개는 시장에 예기치 못한 변동성을 던져주고 있다. 2025년 비트코인 부의 지형은 더 복잡하고 다층적인 구조로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