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강력한 매수세에 힘입어 3,500달러(약 4,865만 원) 부근의 심리적 저항을 재차 돌파하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3,700달러(약 5,143만 원) 선에 위치한 공급 저항 구간에 도달해, 단기 조정 또는 가격 조정 국면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트레이딩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일간 차트에서 이더리움은 3,500달러(약 4,865만 원) 저항을 돌파하며 뚜렷한 상승세를 입증했다. 특히 100일 이동 평균선이 200일 이동 평균선 위로 올라설 것으로 보여지는 골든크로스가 형성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중장기적 강세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이는 과거에도 강력한 상승 추세로 이어졌던 대표적인 지표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3,600~3,700달러(약 5,004만~5,143만 원) 구간에서 공급 물량이 집중된 오더블록(order block)에 진입한 상태다. 이는 매도 압력을 확대할 수 있는 리스크로 작용하면서, 추세가 일시적으로 가라앉은 후 재차 상승 시도를 위한 조정이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4시간 차트에서는 가격이 뚜렷한 범위 내에서 횡보 움직임을 보이는 모습이다. 현재 이더리움은 3,500달러(약 4,865만 원)를 지지선으로, 3,800달러(약 5,282만 원)를 저항선으로 하는 박스권 내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 구간에서의 단기 조정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며, 하방 테스트 이후 지지선이 견고함을 보인다면 상단 돌파의 발판이 마련될 가능성도 있다.
온체인 데이터도 시세의 과열 조짐을 일부 뒷받침한다. 특히 이더리움 선물 거래량 버블맵에선 특정 가격대에서 레버리지 거래 비중이 급증한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시장의 단기 과열과 투기성 매수가 상승세를 끌어올렸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반면, 현물 거래량은 이 같은 움직임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으며 다소 미온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상승세의 기초 체력은 다소 부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결국 이더리움이 단기적으로 3,800달러(약 5,282만 원) 돌파에 성공할지 여부는 현물 시장의 참여 확대가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만약 현물 매수세가 본격 유입될 경우, 이더리움의 상승 랠리는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알트코인 전반에도 긍정적인 영향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