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파생동향] 비트코인($BTC)·이더리움($ETH) 강보합…도지코인($DOGE)·리플($XRP) 반등, 미드캡 코인 급등 주목

프로필
토큰포스트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각각 1.59%, 0.69% 상승해 안정적 흐름 유지했다. 도지코인과 솔라나 등 알트코인이 강세를 보였고, MNT·펭귄토큰 등 중소형 코인이 급등했다.

 TokenPost.ai

TokenPost.ai

현물 시장 최다 거래 종목 분석: 도지코인·솔라나 강세…MNT·펭귄토큰 급등

바이비트(Bybit)에 따르면, 현물 시장에서 가장 활발히 거래된 종목은 비트코인(BTC/USDT)과 이더리움(ETH/USDT)으로, 각각 11만 8천 달러와 3천 733달러선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1.59% 상승하며 전반적인 시장 강세 분위기를 이끌었고, 이더리움은 0.69% 올라 중요한 심리적 지지선을 유지했다. 그 외에도 솔라나(SOL/USDT)는 1.95% 상승한 202달러를 기록하며 메이저 알트코인 중에서 가장 강한 상승폭을 나타냈다.

도지코인(DOGE/USDT)은 1.98% 상승해 단기 투자자들 사이에서 견고한 매수세를 견인했다. 특히, 메이저 코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력성을 보인 종목으로는 멘타(MNT/USDT)가 4.74% 상승하면서 눈에 띄었으며, 라이트코인(LTC/USDT) 역시 3.76% 오르며 메이저 알트코인 군의 상승 흐름을 뒷받침했다.

알트코인 중에서는 신규 상장 및 바이럴 효과가 높은 밈코인 계열에서 도드라진 움직임이 확인됐다. PENGU(펭구/USDT)는 22.82% 급등하며 상위 거래 종목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FRAG(프래그/USDT)는 25.86%의 강세를 나타내며 투자 심리를 자극했다. TAC(타크/USDT)와 ES(이벤트스탑/USDT)도 각각 7.20%, 6.44% 상승해 중소형 종목의 매수 심리가 강하게 유입된 양상이다.

가격 추세 분포 분석: 하락 종목 수 우세…세부 구간별 에너지는 혼재

전체 거래 종목 중 상승을 기록한 종목 수는 245개로 집계됐으며, 하락 종목 수는 281개로 소폭 우위를 보였다. 가격 변화가 거의 없었던 종목은 7개에 불과해 대부분의 시장 참여 종목이 일정한 방향성을 따라 움직였다. 상승 종목보다 하락 종목 숫자가 더 많은 점은 단기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이 수익 실현보다는 조정 흐름에 기운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상승 종목 비율도 45% 이상 분포하면서 전체 시장이 일방적인 약세가 아닌 혼조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일부 신규 활성 섹터나 저시총 종목 상승이 드러난 점, 그리고 전일 대비 수익률 분포가 0~15% 구간에 고르게 분포돼 있다는 점은 아직까지 시장에 잔류된 저가 매수세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는 지난 며칠 간의 랠리 이후 단기 기술적 조정 또는 포지션 정리 성격의 흐름이 포착되고 있으며, 개별 종목 중심 순환 매매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이로 인한 섹터 간 증시 내 온도차가 뚜렷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트렌딩 섹터 분석: HK컨셉 섹터 6.30% 상승…NFT·ZK·프라이버시 토큰 잇단 강세

금일 가장 높은 평균 상승률을 기록한 암호화폐 섹터는 'HK 컨셉'으로, 전체적으로 6.30%의 상승폭을 나타냈다. 해당 섹터에서 주목받은 토큰은 NEON(니온)으로, 무려 27.08% 급등하며 해당 카테고리 전체를 견인했다. 최근 아시아 정책 스토리나 규제 완화 기대감 등이 홍콩 기반 프로젝트들에 대한 관심을 집결시키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NFT(대체불가능토큰) 섹터는 5.03% 상승하며 두 번째로 강한 상승률을 보였고, 여기서는 SLP(스무스러브포션)가 14.42% 오르며 GameFi 섹터와 중첩된 대표 종목 역할을 수행했다. Zero Knowledge(ZK) 기술 기반 섹터는 평균 4.99% 상승했으며, WLD(Worldcoin)가 12.13% 상승해 이 부문을 주도했다.

이외에도 게이밍(GameFi)과 프라이버시 코인 섹터 각각 4.97%, 4.92% 상승하며 투자 관심도를 확인시켰다. 특히 WLD는 프라이버시, ZK, AI, a16z 포트폴리오 섹터에서 각각 중심 종목으로 등장하며, 이날 다중 섹터에서 주요한 투자 타깃임을 보여줬다.

전반적으로 금일 시세 흐름은 인프라보다는 응용 분야 중심의 섹터가 강세를 주도한 것이 특징이다. NFT, 프라이버시, ZK, 게이밍 등 실사용과 커뮤니티 중심 테마가 단기 급등 흐름을 보이며, 투자자들이 실질 유틸리티에 기반한 토큰에 다시 시선을 돌리는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기관 주도보다는 개인 투자자 기반의 빠른 자금 이동과 관련이 깊다고 판단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바다거북이

17:30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