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기준 시장 심리지수가 이전과 동일한 '중립'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단기 상승 기대감은 다소 식었지만, 일부 종목은 여전히 투심이 과열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7월 24일 오전 10시 7분 기준 업비트 데이터 랩에 따르면 전체 시장 공포·탐욕 지수는 전일과 동일한 '중립(59)'을 유지 중이다. 한 주 전에는 '탐욕(65)', 한 달 전에는 '중립(49)'을 기록하며 점진적인 완화 흐름을 보였다.
자산별 지수를 살펴보면 '공포' 국면에서는 ▲레이어제로(ZRO, 34) ▲카이토(KAITO, 36) ▲무브먼트(MOVE, 38)가 상위를 차지했다. 특히 ZRO와 KAITO는 전일 대비 공포 심리가 각각 3포인트씩 강해지며 투자 회피 심리가 확대됐다.
반면 '탐욕' 국면 상위에는 여전히 과열 양상을 보이는 ▲스트라이크(STRIKE, 97) ▲리스크(LSK, 76) ▲아더(ARDR, 76)가 포진했다. 특히 LSK는 전일 대비 14포인트 급등하며 강한 매수세 유입을 확인시켰으며, ARDR은 그래도 18포인트 하락하면서 일정 부분 투심이 완화됐다.
▲봉크(BONK, 72)와 ▲드리프트(DRIFT, 72) 역시 탐욕 구간이지만 최근 변화는 크지 않았다.
이날 업비트 기준 프리미엄은 일부 종목에서 극단적으로 확대됐다. ▲옵저버(OBSR), ▲랠리(RLY), ▲엑세스프로토콜(ACS)은 모두 글로벌 평균 대비 100% 프리미엄을 기록하며 과도한 국내 매수 수요를 보여줬다.
또한 ▲에이피아이쓰리(API3, +21.76%), ▲나폴리(NAP, +19.19%) 등도 높은 프리미엄을 기록했다. 이는 해당 종목의 공급이 타 거래소에 비해 제한적이며, 국내 투자자 수요가 집중됨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엔케이엔(NKN, –4.00%) ▲스크롤(SCR, –3.26%) ▲오키드(OXT, –2.00%) 등은 역프리미엄을 보이며 해외 거래소 대비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기술적 조정 구간이거나 수급 붕괴 해석이 가능한 만큼 주의가 요구된다.
시장 전체적으로는 단기 반등세가 주춤하면서 개별 종목 위주의 매수심리가 두드러지고 있다. 공포 심리가 짙어진 종목은 저점 매수 기회로도 받아들여지며, 반대로 극심한 탐욕 구간에서는 차익실현 경계감이 커지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