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ys
  • Hours
  • Mins
  • Secs

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 1억5400만원·이더리움 599만원·리플 3900원대…시세 혼조세

프로필
토큰포스트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비트코인은 약보합세, 이더리움은 단기 조정 중이며 리플은 미세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 1억5400만원·이더리움 599만원·리플 3900원대…시세 혼조세 / 셔터스톡

비트코인 1억5400만원·이더리움 599만원·리플 3900원대…시세 혼조세 / 셔터스톡

9월 3일 오후 기준으로 주요 암호화폐 시세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약보합 속에서 11만 달러 선을 유지했으며, 이더리움은 단기 과열 해소 구간에 접어든 모습이다. 반면 리플은 미세한 강세 흐름을 이어가며 이더리움과는 다른 차별화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체 암호화폐 가격 시장은 여전히 높은 등락을 이어가지만, 일부 강세장을 주도하던 종목의 조정이 눈에 띈다.

우선 비트코인은 이날 오후 기준으로 110,764.34달러(약 1억5,416만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기준 0.36% 상승했다. 7일 변동률은 -0.3%로 한 주간 보합권에 머무는 흐름이고, 30일 기준으로는 -3.27% 하락해 완만한 조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60일과 90일을 기준으로 보면 각각 2.27%, 5.96% 상승해 장기적 우상향 흐름은 유지 중이다. 시가총액은 3경 702조 원대로 전체 암호화폐 시세에서 57.85%의 점유율로 여전히 핵심 종목 역할을 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최근 고점 이후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조정을 받고 있다. 현재가는 4,308.96달러(약 599만7천원)이며, 24시간 기준 -2.34% 하락세다. 일주일 기준으로는 -6.14%, 30일 간은 오히려 21.59% 상승해 중기적 흐름은 여전히 강세 국면으로 볼 수 있다. 특히 60일, 90일 기준 각각 70.47%, 65.21%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지난 두 달 간 시장을 주도한 대표 종목으로 확인된다. 다만 이번 하락은 고점 부담과 기술적 조정의 일환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리플은 이날 오후 기준 2.82달러(약 3,922원)를 기록하며 24시간 기준 0.51% 상승 중이다. 일주일 기준 -6.07%, 30일 기준 -5.55%로 최근엔 다소 부진한 흐름을 보였지만, 60일 기준 26.34%, 90일 간 28.68% 급등하며 상승 전환의 가능성도 엿보이고 있다. 리플은 비트코인, 이더리움과는 다른 독자적 수급 구조를 보이며 시장 내 변동성을 확대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233조 원이며, 시장 점유율은 4.4%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최근 암호화폐 가격은 혼조세다. 비트코인의 횡보 흐름 속에 이더리움의 조정과 리플의 미약한 반등이 겹치며, 시장 내 주도 종목이 분산되고 있는 모습이다.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도 심리가 일시적으로 불안정해진 가운데, 다음 추세가 어디에서 출발할지가 핵심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바이비트 제공 포지션 수익 분포에 따르면, 현재 시장 내 수익 구간에 머물고 있는 포지션이 365건에 달한 반면, 손실 구간은 133건으로 집계돼 강세장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견고함을 보여주고 있다. 변화가 없는 포지션은 16건에 불과해 대부분의 파생상품 계약이 일정 수준의 가격 이동에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수치는 단기적으로 기술적 반등 흐름이 시장 전반에 파급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이더리움의 30일, 60일 급등세는 일부 고점 매수 포지션에도 여전히 수익을 기록할 정도로 강한 시장 반응을 보였다는 방증이다. 이번 포지션 분포는 가격 상승 국면에서도 손절보다 이익 실현이 앞선 구간이 많아졌다는 점에서, 시장 심리는 아직까지는 유리한 방향으로 작동 중인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의 경우 최근 수익 구간 포지션이 집중되며 단기 박스권 상단 돌파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점화되고 있다. 다만 7일 및 30일 기준 변동성이 제한적이므로, 해당 포지션이 어느 구간을 기준으로 형성되었는지에 따라 실제 수익이 누적되고 있는지는 세부 분석이 필요하다. 반면 이더리움은 기술적 조정이 전개된 가운데 여전히 상당수 포지션이 수익 구간에 있어, 시장 심리에서 소강 국면 이후 재상승 가능성까지도 고려되는 분위기다.

리플의 경우 대세 상승 흐름을 형성하진 못했지만, 수익-손실 구간 비율 면에서 이더리움의 흐름을 따라가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리플에도 일정 수준의 기대 심리가 퍼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부 파생상품 투자자들이 리플의 반등 가능성에 베팅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포지션 분포 기반 시장 심리는 전반적으로 낙관적이며, 향후 추세 전환 혹은 확장의 단초가 포착될 수 있는 구간으로 접근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더리움은 최근 기술적 저항선인 4,530~4,550달러 구간을 앞두고 횡보세를 이어가고 있다. 9월 3일 기준 이더리움은 4,297달러 부근에서 거래되며 비트코인과 달리 하락세를 보였지만, 기관 중심의 현물 ETF 자금 유입은 지속되고 있다. 8월 한 달간 1350억 달러 규모의 DEX 거래와 2,400억 달러의 총 예치 자산(TVL)을 기록하는 등 온체인 지표는 여전히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1,500만 개 이상의 활성 지갑이 집계되며 네트워크 사용성도 강화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주요 고래 투자자들의 보유 물량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중장기 강세 전망을 뒷받침하는 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일부 자금이 'Layer Brett'와 같은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밈코인이나, RWA·NFT 등 알트코인 섹터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승 탄력이 약화되는 모습도 관찰된다.

전반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비트코인의 강세 흐름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코인은 단기 피로 구간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이 4,200달러 지지선을 하락 이탈할 경우 추가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기술적 관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다만 온체인 펀더멘털과 ETF 수급이 여전히 뒷받침되고 있는 만큼, 주요 저항 구간 돌파 여부에 따라 랠리 발동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전망이 병존한다. 이처럼 시장이 기술적 전환점에 위치한 만큼, 추격 매수보다는 분할 접근, 지지·저항선 기반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RWA, AI, NFT 등 섹터 확장 흐름이 계속되는 만큼 중소형 종목에 대한 과열 신호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빅리치

17:17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빅리치

2025.09.03 17:17:5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