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연준의 기대를 뛰어넘으며, 이달 예정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사실상 무산됐다. 물가 상승률은 연간 기준 2.7%로 상승해 중앙은행의 목표치인 2% 안정선에서 더 멀어졌고, 그 결과 금융시장과 전문가들이 기대하던 이달 금리 인하 시나리오는 급격히 후퇴했다.
미 노동통계국(BLS)이 1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6월 소비자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2.7% 오르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재차 부각됐다. 연준이 통화정책 완화로 전환할 유인이 줄어든 것이다. 높아진 물가는 연방기금금리를 통해 광범위한 대출 금리를 끌어올리고, 이는 결국 소비와 투자를 억제하는 전략으로 작용한다.
BMO 캐피털 마켓의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 스콧 앤더슨은 “이번 인플레 데이터는 연준이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유지하는 선택을 하게 만들 것”이라며 “정책 전환은 당분간 유보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CME의 페드워치(FedWatch) 데이터에 따르면, 7월 30일 금리 인하 가능성은 전날 6.2%에서 발표 직후 2.6%로 급락하며 시장 기대감이 확연히 꺾였다.
연준은 지난 1월 이후 기준금리를 높은 수준에서 유지하며 인플레이션 억제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 이후 고조된 인플레이션이 아직 안심이 안 되는 상태에서, 이번 물가 급등은 연준 입장에선 부담이다. 여기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강화 조치도 물가를 밀어올리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다만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 같은 관세 유발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일 수 있다고 본다.
웰스파고증권 소속 이코노미스트들은 “노동시장 완화 조짐이나 관세가 현재 수준에 머문다는 가정 아래에서는 9월 첫 금리 인하가 유효한 시나리오로 보인다”며 “물가에 대한 가장 극단적인 우려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플레이션 반등에도 불구하고 연준이 9월에는 정책 선회에 나설 가능성은 아직 살아 있다. 이는 최근 고용 둔화와 소비 위축 등 경기 선행 지표가 보다 현실적인 고려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장 7월 회의에서는 금리 동결이 유력해졌고, 당분간은 '상황 관망'이라는 연준의 기본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