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창업에 국경은 없다… '디폴트 글로벌' 시대, 입지보다 실행력이 힘이다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3
3

글로벌 시장을 전제로 한 창업이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며, 물리적 입지보다 문제 해결 능력과 실행력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오그멘트와 같은 플랫폼은 분산 전략과 원격 인재 채용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창업에 국경은 없다… '디폴트 글로벌' 시대, 입지보다 실행력이 힘이다 / TokenPost Ai

최근까지 창업에 있어서 ‘입지’는 제품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로 여겨졌다. 그러나 오늘날 세계화의 물결은 이 판도를 완전히 바꾸고 있다. 이제는 물리적 위치보다는 문제 해결 능력과 실행력이 더 큰 가치로 평가받는다. 프랑스에 본사를 둔 증강현실 기반 교육 플랫폼 ‘오그멘트(Augment)’도 이를 입증하는 사례다. 전체 고객 중 자국 고객 비중은 겨우 1.41%에 불과하지만,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 중이다. 이는 곧 "시장이 세계라면 왜 지역에 얽매이는가?"라는 질문을 던진 셈이다.

이같은 흐름 속에서 새로운 유형의 창업자들이 떠오르고 있다. 실리콘밸리나 런던 같은 기존 스타트업 허브 외부에서 시작해 글로벌 인재를 활용하고, 경험해 보지 못한 시장에서도 유의미한 비즈니스 성과를 낸다. 단지 유행이 아니라 전략적 선택이다. 예를 들어 나이로비에서 제품을 개발하고 뉴욕에서 판매하며, 파리에서 근무하고 미국 전역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한 시대다. 본질은 제품과 문제 해결력이며, 고객이 있는 곳이 곧 비즈니스의 중심이 되는 셈이다.

그렇다고 뉴욕이나 샌프란시스코처럼 전통적인 기술 도시들의 가치를 완전히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도시는 초기 신뢰도, 자금 접근성, 숙련된 인재 네트워크 측면에서 여전히 이점을 지닌다. 그러나 높은 운영비용과 인건비는 치명적인 약점이며, 최근 인공지능과 디지털 작업 도구의 발달은 이 같은 장점을 상당 부분 상쇄시키고 있다.

새롭게 부상하는 스타트업들은 이제 시작부터 전 세계를 상정하고 시장을 설계한다. a16z(안드레센 호로위츠)의 '디폴트 글로벌(Default Global)' 보고서에서 언급했듯, 지리적 다변성을 통해 탄탄한 회복력을 갖추고 광범위한 소비자 기반 확보가 가능해진다. 한 지역만을 의존하는 사업모델은 외부 변수에 취약하며, 글로벌 분산 전략은 특히 스타트업에 안정성을 더해주는 강력한 무기다.

뿐만 아니라, 낯선 시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는 기존 사고의 한계를 깨고 새로운 방식으로 고객을 이해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기술과 제품의 혁신으로 이어진다. 영국으로 본사를 이전하며 비즈니스 모델을 재정비한 덴마크 출신의 음식배달 플랫폼 ‘저스트잇(Just Eat)’처럼, 잭팟은 종종 예기치 못한 시장에서 터진다.

이러한 글로벌 마인드는 인재 채용에서도 적용된다. 과거에는 유능한 인재를 찾기 위해 특정 도시로 이동했다면, 이제는 원격 근무와 디지털 협업 도구의 보편화로 전 세계 어디서든 인재를 영입할 수 있다. 현대의 인재는 특정 장소나 학위에 묶이지 않는다. 최고의 기업은 그런 유연성을 바탕으로 장소의 제한 없이 팀을 구성하고 성장해 나간다.

따라서 오늘날 창업자에겐 중요한 질문이 남는다. 당신이 공략하려는 시장이 지금 있는 곳에서 ‘너무 멀다’는 말에 흔들릴 필요가 있을까? 세계는 커다랗고, 그 속엔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훨씬 많으며, 그만큼 비즈니스 기회도 도처에 있다. 작은 시장에서 출발하되, 처음부터 큰 시장을 염두에 두고 설계하라. 인터넷이 물리적 한계를 지웠다면, 창업자는 그 경계를 스스로 다시 만들 이유가 없다.

오그멘트의 공동창립자이자 CEO인 아리엘 레누스(Ariel Renous)는 전통 MBA를 대체할 수 있는 실전 교육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여기에는 위키피디아 공동창업자 지미 웨일스(Jimmy Wales), 샤잠 창립자 크리스 바턴(Chris Barton), 유튜브 공동창업자 스티브 첸(Steve Chen)을 비롯한 아마존과 구글의 전직 임원이 참여해 실무 중심의 지식 전수를 담당하고 있다. 그는 현장 중심의 학습이 비즈니스 문제 해결에 더 효과적이라 확신하며 또한, 창업 역시 그와 같은 사고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독일, 바이비트 해킹 연루 암호화폐 554억 원 압수…역대 3번째 규모

리플(XRP), 교육에 365억 원 투입… '암호화폐 실사용' 논의 점화

이더리움재단, 1분기 476억 원 풀었다…생태계 확장에 집중 투자

제미니, MiFID II 라이선스 획득…유럽 전역 암호화폐 파생상품 진출

댓글

3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legoboss

2025.05.09 23:54:4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5.05.09 23:33:21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5.09 21:31:4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