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코인 매집 ON] SEI 112%·CULT 43% 급등...매집주 강세 확산

프로필
강수빈 기자
댓글 4
좋아요 비화설화 5

세이(SEI)가 월간 112.43% 급등으로 매집 종목 중 최고 수익률을 달성했고, 밀라디 컬트코인(CULT)은 일간 43.28% 상승하며 단기 최강 모멘텀을 보였다. 원인치(1INCH)는 주간 67.23% 상승과 함께 거래량이 442% 폭증하며 매집 종목들의 전면적 반등이 시작됐다.

 [코인 매집 ON] SEI 112%·CULT 43% 급등...매집주 강세 확산

암호화폐 시장에서 매집 지속 기간과 가격·거래량 변화는 추세 전환의 초기 신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다. 매집 구간은 거래량은 늘지만 가격은 쉽게 오르지 않는 시기로, 대규모 매수세가 나눠서 들어오는 '큰손'의 움직임이 숨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반복적으로 쌓이는 거래량과 수익률 흐름을 주간 단위로 살펴보면 반등 가능성이 있는 종목을 찾아볼 수 있다. 매주 매집세가 이어지는 종목과 상승 전환 조짐이 보이는 자산을 정리해 소개한다. [편집자주]


16일 드롭스탭(dropstab) 데이터에 따르면 세이(SEI), 봉크(BONK), 헤데라(HBAR) 등이 매집 단계에서 가격 상승과 거래량 증가를 동반하며 강력한 반등세를 보였다. 이와 달리 파이 네트워크(PI), 트럼프(TRUMP), 카이아(KAIA) 등은 꾸준한 매집에도 불구하고 가격 회복 없이 부진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

매집세 포착 SEI·BONK·HBAR

21일간 매집세가 이어진 SEI는 최근 1개월간 114.79% 상승하며 강력한 반등세를 보였다. 7일 거래량도 73.54% 증가해 단기 매수세 집중이 확인됐다.

BONK는 7일간의 매집 끝에 한 달 동안 102.17% 급등했고, 거래량은 48.94% 증가로 추세 반전 신호를 강화했다. HBAR 역시 1일간의 짧은 매집 구간에서 52.35%의 월간 수익률을 기록하며 619.42%의 거래량 폭증을 보였다.

크로노스(CRO)와 도그위프햇(WIF)도 각각 19.47%, 28.21%의 월간 상승률을 기록하며 매집 후 반등 패턴에 진입했다.

  • 1인치(1INCH) 74.22%|거래량 442.54%
  • 무브먼트(MOVE) 6.46%|거래량 292.86%
  • 에이셔(ATH) -13.67%|거래량 329.75%
  • 아카시네트워크(AKT) 12.47%|거래량 339.06%
  • 토시(TOSHI) 12.20%|거래량 320.15%
  • 네이로(NEIRO) 26.95%|거래량 276.37%
  • 비토르토큰(VTHO) 7.81%|거래량 240.62%
  • 비트코인SV(BSV) -11.27%|거래량 130.06%

매집 중 정체 PI·TRUMP·KAIA

파이 네트워크(PI)는 5월부터 매집 상태를 유지했지만 1개월 수익률 -25.14%를 기록하며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트럼프(TRUMP) 역시 4월부터 매집 중이나 -3.54%의 월간 수익률로 부진했다. 카이아(KAIA)는 6월부터 매집 구간을 이어가고 있으나 1개월 수익률 -0.13%, 거래량 -9.70% 감소로 수급 정체 흐름을 보인다.

매집 구간이 길어지고 있음에도 가격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는 종목들은 매도 물량 소화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소화 구간'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실질 매수세 회복 여부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 AB(AB) -41.95% 하락|거래량 -22.37%
  • 라이브피어(LPT) 3.24%|거래량 -58.38%
  • 레이븐코인(RVN) -22.91%|거래량 -87.06%
  • 쓰레스홀드네트워크토큰(T) 7.83%|거래량 -96.10%
  • GMT(GMT) 9.52%|거래량 -9.35%

수익률 상위 종목 CULT·1INCH·SEI

최근 누적 매집 구간에 있는 종목 중 24시간 기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은 밀라디 컬트코인(CULT, 43.28%)로, 월간 기준 79.24% 상승하며 중장기 강세 흐름도 유지 중이다. 이어 ▲AGENDA 47(A47, 20.62%) ▲PONKE(15.51%) ▲북 오브 밈(BOME, 12.18%) ▲벨로(VELO, 11.82%)가 하루 사이 두 자릿수 상승폭을 기록하며 단기 모멘텀을 키웠다.

7일 수익률 기준 상위권은 1인치(1INCH, +67.23%), 밀라디 컬트코인(CULT, +60.48%), 카이버 네트워크 크리스탈(KNC, +60.18%), 헤데라(HBAR, +45.30%), 세이(SEI, +44.72%) 순이다. 모두 최근 매집이 시작된 종목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CULT는 6월부터 누적 매수세가 포착된 이후 일간(+43.36%)·주간(+60.48%) 수익률 모두 상위권을 기록하며 강한 가격 복원력을 보여주고 있다.

1개월 누적 수익률 기준으로는 ▲세이(SEI, +112.43%)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봉크(BONK, +99.80%) ▲해시키 플랫폼 토큰(HSK, +97.72%) ▲빅션(VIC, +80.48%) ▲밀라디 컬트코인(CULT, +78.37%) 등도 강세 종목군으로 분류됐다.

거래량 급증 UMA·ARW

최근 일주일간 거래량이 급증한 종목으로는 ▲UMA(349.34%) ▲엑스머니(UTK, 313.60%) ▲해시플로우(HFT, 185.29%) ▲아에르고(AERGO, 153.52%) ▲PORT3 네트워크(PORT3, 143.54%)가 상위권에 올랐다. 특히 UMA와 UTK는 7일 거래량이 각각 3배, 3배 이상 증가하며 대규모 매수세 유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가격도 동반 상승하며 매집 후 본격적인 반등 전환 신호로 해석된다.

한 달 기준 거래량 증가율 상위 종목은 ▲아로와나(ARW, 777609.94%) ▲세이(SEI, 3537.38%) ▲트론(TRX, 1353.58%) ▲코박 토큰(CBK, 1134.95%) ▲해시플로우(HFT, 930.50%) 순이다. ARW는 월간 거래량이 7776배 폭증하며 극단적 매수세를 보였고, SEI는 35배 증가로 견고한 매집세가 확인됐다. 특히 SEI와 HFT는 가격 상승과 함께 거래량이 대폭 증가해 본격적인 상승 사이클 진입 가능성이 제기된다.

장기 매집 지속: FWOG·OMI·ZULU

장기간 매집 구간을 이어가고 있는 종목으로는 ▲프워그(FWOG, 1월 8일) ▲이코미(OMI, 2월 24일) ▲줄루(ZULU, 3월 29일) ▲하이파이(HIFI, 4월 16일) ▲비토르토큰(VTHO, 4월 19일) 등이 있다.

수개월간 뚜렷한 상승 없이 조용한 매수세가 반복된 '장기 매집' 종목이다. 이러한 장기 매집은 매수 주체의 확신이나 장기적 수급 안정성을 시사할 수 있다.

일부는 최근 들어 거래량과 가격의 움직임이 관찰되며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ZULU는 7일 기준 29.10% 상승하며 반등 가능성을 드러냈고, FWOG도 26.72%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HIFI는 1개월 기준 20.50% 상승하며 장기 매집 후 반등 신호를 보이고 있다. OMI는 거래량이 한 달 기준 49.98% 증가해 본격적인 매수세 유입이 시작된 '저점 선취' 신호로 주목된다. VTHO는 7.43%의 월간 상승률과 함께 239.58%의 거래량 증가를 보이며 매집세가 강화되고 있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4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5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1mini

17:55

등급

바다거북이

14:59

등급

Slowpoke82

12:59

등급

빅리치

12:09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7.16 17:55:57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5.07.16 14:59:5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빅리치

2025.07.16 12:09:1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ujaabba

2025.07.16 11:16:2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