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레이어1, 이더리움($ETH) 품으로… '레이어2 전환' 확산 신호탄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3

셀로 사례를 계기로 레이어1 블록체인이 이더리움 생태계로 통합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다. 업계는 기술·자본·개발자 측면에서 이더리움 중심 협업 강화에 주목한다.

 레이어1, 이더리움($ETH) 품으로… '레이어2 전환' 확산 신호탄 / TokenPost.ai

레이어1, 이더리움($ETH) 품으로… '레이어2 전환' 확산 신호탄 / TokenPost.ai

이더리움(ETH) 생태계가 확장 전략의 전환점을 맞고 있다. 최근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개별 레이어1 체인이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로 전환하는 방안이 새로운 생존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이더리움 재단의 제이슨 채스킨(Jason Chaskin)이 촉발했다. 그는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대다수의 레이어1 블록체인은 결국 이더리움의 레이어2로 전환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셀로(Celo)의 사례를 주요 근거로 제시했다. 셀로는 지난달 이더리움과의 통합을 목표로 레이어2 전환 계획을 발표해 주목받은 바 있다.

채스킨은 “셀로가 이더리움 기반으로 전환하면서 인플레이션을 줄이고, 코드 구조를 간소화했으며, 블록 생성 시간도 단축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세계 최대의 개발자 커뮤니티는 이더리움에 존재한다”며 이더리움 생태계 내 협업의 이점을 강조했다.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인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 역시 이 같은 논의에 동참하며, 레이어2 네트워크 구축을 희망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에게 새로운 기술적 로드맵을 제안했다. 그는 레이어2 개발을 위한 구조적 접근을 설명하며, 이더리움과의 정렬이 가져올 수 있는 효율성과 상호운용성의 장점을 강조했다.

이처럼 레이어1 블록체인들이 독자 생존 전략 대신 이더리움 생태계와의 통합을 고려하는 배경에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 환경이 있다. 기술 혁신뿐 아니라 커뮤니티, 자본, 유동성 등 생태계 전반에서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면서, 개별 블록체인들이 이를 단독으로 견디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레이어1의 성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이더리움 중심의 레이어2 연합이 대세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의 기술적 안정성과 글로벌 개발자 풀은 다른 프로젝트들에는 획기적인 성장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3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흰토끼를따라가라

21:23

등급

낙뢰도

19:47

등급

사계절

18:30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낙뢰도

2025.07.16 19:47:3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7.16 18:30:3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