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가 비트코인(BTC) 가격 급락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전략을 갖췄다는 내부자의 발언이 전해졌다. 관련 업계에선 BTC 시장의 급등락 우려가 상존하는 가운데, 기업 차원에서의 장기적 비트코인 투자 전략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BTC 전략 총괄 매니저 차이탄야 자인(Chaitanya Jain)은 최근 X(구 트위터) 게시글을 통해, 예를 들어 BTC가 2만 달러(약 2,780만 원)까지 급락하더라도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모든 재무적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담보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일각에서 제기된 ‘BTC 가격 급락 시 기업 존립 위협’이라는 우려를 정면 반박한 것이다.
현재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60만 1,550개의 BTC를 보유 중이며, 이는 약 711억 4,027만 달러(약 98조 8,958억 원)에 달한다. 이 같은 대규모 보유 물량은 최근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회장이 이끈 추가 매입의 일환이었다. 해당 매입에서는 MSTR 및 BTC 담보 전환사채 STRK, STRF, STRD를 통해 조달한 4억 7,250만 달러(약 6,574억 원)로 4,225 BTC를 확보했다.
자인의 주장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BTC 가격 변동성에 취약한 ‘모래성’이 아니라 철저히 구축된 ‘요새형 투자 구조’다. 특히 최근 몇 년간 BTC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면서 총 350억 달러(약 48조 6,500억 원)를 유치해 온 점도 강조됐다.
비트코인 옹호자로 널리 알려진 마이클 세일러도 최근 게시글을 통해, 주주 대상 BTC 운용 수익을 공개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최근 일주일 동안 2,485 BTC를 추가 확보해 확보액으로는 약 2억 9,100만 달러(약 4,041억 원)에 해당한다. 올해 들어 누적된 BTC 증가량은 9만 337 BTC로, 총액은 105억 6,974만 달러(약 14조 6,368억 원)에 육박한다.
자인은 또 하나의 트렌드를 언급하며 "이제 기존 금융권 인사들도 비트코인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며 “금융계 전문가들이 하나 둘 ‘비트코이너’로 전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단순한 IT 기업을 넘어, 새로운 금융 패러다임의 변곡점에 선 사례라는 평가를 뒷받침한다.
이처럼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BTC에 대한 고위험 고수익 전략을 견지하면서도, 탄탄한 담보 확보와 탄력적인 채권 구조를 통해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있다. BTC 가격이 대폭 하락하더라도 기업의 생존 가능성은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시장에 강하게 전달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