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애플, 자체 AI 모델 외부 개발자에 개방…WWDC서 'AI 생태계' 재편 예고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애플이 WWDC 2024에서 자체 개발한 AI 모델을 외부 개발자에 개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Core ML 연동 및 온디바이스 강화 전략으로 차별화에 나선다.

애플, 자체 AI 모델 외부 개발자에 개방…WWDC서 'AI 생태계' 재편 예고 / TokenPost Ai

애플(AAPL)이 곧 개최될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자체 개발한 대형 언어모델(LLM)을 외부 개발자에게 개방할 계획이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이를 통해 새로운 앱 생태계를 확대하고 자사의 AI 기술력을 한층 더 시장에 안착시킬 전략이다.

애플은 지난해 아이폰과 맥에 적용된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라는 이름의 인공지능 기능들을 선보였으며, 이 기능들은 내부적으로 개발된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s)’에 의해 구동된다. 이번 개방은 이들 모델 중 일부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와 관련 프레임워크 형태로 외부 개발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현재 애플 인텔리전스는 텍스트 수정, 문법 검사, 이미지 생성, 알림 요약 등의 기능만 수행하고 있다. 업계에선 이미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파이(Phi)’처럼 소형이면서도 고성능인 공개 모델들이 다수 존재하는 만큼, 개발자들이 굳이 애플의 모델을 선택할 이유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파이는 아이폰과 같은 제한된 기기에서도 작동 가능하며, 일부 모델은 논리적 추론 기능까지 갖춰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장 전문가들은 애플이 모델을 좀 더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차별화할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잘못된 AI 결과를 미리 걸러내는 ‘가드레일’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하거나, 개발자들이 이미 익숙한 ‘Core ML’ 프레임워크와의 통합을 통해 학습과 배포를 간소화할 수 있다는 점 등이 매력 요소로 거론된다. Core ML은 현재 iOS와 macOS에서 써드파티 신경망 모델을 통합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발 도구다.

다만 초기에는 기기 내에 탑재된 모델들만이 개발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며, 상대적으로 연산력이 높은 클라우드 기반 모델의 개방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그간 애플은 자체 기기 내 연산을 강화해 유저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집중해온 만큼, 클라우드 모델 개방에는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지난해 WWDC에서 애플이 공개한 일부 온디바이스 모델은 30억 개 파라미터로 구성돼 있음에도 동급 오픈소스 모델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애플의 언어모델은 ‘어댑터 레이어’라는 방식으로 새로운 태스크에 맞춰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기존 모델을 재훈련하거나 새로 구축하는 데 드는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이번 WWDC에서는 추가적인 AI 개발 도구들도 함께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 앞서 블룸버그는 애플이 AI 스타트업 안트로픽과 협력해 LLM 기반의 코드 보조 툴을 개발 중이며, 이를 자사 개발 플랫폼인 X코드(Xcode)에 탑재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애플이 LLM 개방을 통해 개발자 생태계를 어떤 방식으로 재편할지, 나아가 AI 시장 내 경쟁 구도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는 이번 WWDC 이후 본격적으로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美 SEC 퍼스 위원 "NFT 로열티 기능, 증권 규제 대상 아냐"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