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UNIST, 산업 밀착형 공학 석사 '노바투스대학원' 공식 출범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3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는 실무형 교육 모델인 '노바투스대학원'을 공식 개원했다. AI·기계공학 중심 석사 과정으로 정규 학위 제공이 시작됐다.

 UNIST, 산업 밀착형 공학 석사 '노바투스대학원' 공식 출범 / 연합뉴스

UNIST, 산업 밀착형 공학 석사 '노바투스대학원' 공식 출범 / 연합뉴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산업 현장과 연계한 실무형 고등 교육 모델로 ‘노바투스대학원’을 공식 출범시켰다. 2년제 공학전문대학원 체제로, 정규 석사 학위를 발급하는 첫 운영이 시작되며 기업 수요에 맞춘 맞춤형 교육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대학원 설립은 지난 2021년부터 진행해온 비학위 과정 ‘노바투스 아카데미아’를 전면 확장한 결과다. 기존 프로그램이 단기 인공지능(AI)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에 머물렀던 데 반해, 신규 설립된 노바투스대학원은 공학 석사 과정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인재 양성 체계를 갖췄다는 점에서 차별된다.

노바투스대학원은 특히 산업계의 요청에 응답하는 교육 모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전공 과정은 산업 인공지능(AI)과 기계공학 분야로 구성됐으며, AI 기술을 활용한 문제 해결 능력,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술인재 양성, 지역 산업의 기술 역량을 높이는 데 교육의 초점이 맞춰졌다. 현장 재직자를 위한 수업 시간 구성과 실무 적용 중심의 커리큘럼은, 기업 맞춤형 인재 수요와 교육 간 간극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은 이번 개원에 그치지 않고 학문 분야 확장에도 적극 나선다. 오는 2026학년도에는 미래모빌리티, 에너지 기술, 산업안전 분야 등 신산업 수요가 높은 전공을 추가 개설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6년 하반기에는 새로운 전공에 대한 석사과정 신입생 모집도 시작된다.

노바투스대학원 출범은 우리나라 고등 교육의 산업 밀착형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단순 이론 중심의 학업에서 벗어나, 실질적 기술혁신과 산업현장 성과로 연결되는 체계 구축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육계나 기업계 모두 주목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흐름은 향후 공학 교육 전반에 실무 중심 커리큘럼 도입을 확산시키는 분기점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산업 AI와 지역산업 연계형 고등교육 발전 방향에 주요한 이정표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홍콩, 단 30일 만에 세계 첫 이더리움 기반 공개 위안화 채권 발행

홍콩, 단 30일 만에 세계 첫 이더리움 기반 공개 위안화 채권 발행

댓글

댓글

2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1:13

등급

사계절

00:08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가즈아리가또

2025.09.03 01:13:5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9.03 00:08:0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