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초슬림 아이폰 에어, 中 출시 지연…eSIM 규제에 막혔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애플의 신형 초슬림폰 '아이폰 에어'가 중국의 eSIM 규제로 인해 출시가 연기됐다. 물리 유심이 없는 혁신 설계가 오히려 현지 규제 장벽에 가로막혔다는 분석이다.

 초슬림 아이폰 에어, 中 출시 지연…eSIM 규제에 막혔다 / 연합뉴스

초슬림 아이폰 에어, 中 출시 지연…eSIM 규제에 막혔다 / 연합뉴스

애플이 새롭게 출시한 초슬림 스마트폰 ‘아이폰 에어’의 중국 출시가 현지 규제 문제로 인해 연기됐다. 애플은 당초 9월 19일 정식 출시를 앞두고 12일부터 사전 주문을 받을 예정이었지만, 갑작스러운 출시 일정 변경으로 중국 판매가 불투명해졌다.

애플 측은 중국의 이심(eSIM, 내장형 전자 유심) 관련 규제가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아이폰 에어’는 물리적인 심카드 슬롯이 없는 최초의 아이폰으로, 오직 이심만을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이심을 사용하는 단말기 판매에 앞서 정부의 별도 승인을 받아야 하며, 현재까지 해당 절차가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애플은 중국 주요 통신사들과 협력해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면서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제품을 선보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이폰 에어’는 지난 9일 공개된 애플의 신형 스마트폰으로, 두께가 5.6mm에 불과한 초슬림 디자인을 자랑한다. 2017년 출시된 아이폰X 이후 본격적인 외형 디자인 재편이 이뤄진 첫 모델로, 애플이 디자인 혁신에 다시 초점을 맞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심 채택으로 기기 내부 공간을 절약했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효과를 얻었다고 애플은 강조했다.

다만, 이 같은 혁신이 중국 시장에선 오히려 규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중국은 개인정보 보호와 통신 정책을 이유로 자국 내에서 유심 발급과 네트워크 연결을 강하게 통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심 전용 기기의 도입은 기존 절차 및 기준과 충돌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중앙 정부의 승인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애플에 있어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큰 단말기 시장이자 주요 생산 거점이기도 하다. 그만큼 ‘아이폰 에어’의 중국 출시 지연은 단순한 일정 변경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한편으로는 미국 기술기업이 중국의 통신 정책과 어떻게 균형을 맞춰야 하는가에 대한 과제를 안고 있다는 점에서도 상징적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스마트폰 기기 내 이심 도입 추세와 맞물려 각국에서 규제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을 예고한다. 특히 통신 및 데이터 보안에 민감한 국가들의 시장 진입 과정에서 유사한 문제가 반복될 수 있어, 제조사들의 전략 재조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