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뉴욕 브리핑] 분석 "내년 BTC 반감기 이후 장기 약세장 진입" 外

작성자 이미지
양소희 기자
9
0

사진 = shutterstock

[분석 "내년 BTC 반감기 이후 장기 약세장 진입"]

34만명 이상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크레디불 크립토가 시장의 기대와는 달리 내년 BTC 반감기 이후 장기 약세장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엘리엇 파동 이론에 입각해 2018년 시작된 강세장 주기(2018-2024)가 아직 끝나지 않아 2024년 5월경 BTC가 전고점($69000)을 돌파한 후 수년 동안 이어질 약세장이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BTC 반감기는 2024년 4월경으로 예정돼 있다.

[서클 CEO "스테이블코인 경쟁 극복 위한 $10억 현금 있다"]

더블록에 따르면 제레미 알레어 서클 CEO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시장 점유율 하락, 스테이블코인 경쟁 심화를 극복하기 위해 $10억 현금 쿠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USDC 유통량은 현재 약 $240억 정도인데, 이는 1월 $420억 대비 43% 감소한 수치다. 반면 USDT 유통량은 올 들어 18% 증가한 $840억을 기록 중이다.

[a16z 크립토, SNARK 기반 새 툴 공개...ZK롤업 개발속도↑]

더블록에 따르면 앤드리슨 호로위츠의 암호화폐 부문 a16z 크립토가 SNARK 기반 새로운 도구 라쏘(Lasso), 졸트(Jolt)를 공개했다. SNARK(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s of Knowledge)는 영지식 증명의 한 유형으로, 레이어2 스케일링 솔루션 ZK롤업에 활용된다. a16z 크립토 리서치 팀은 Lasso, Jolt가 효율적인 SNARK 설계를 도와 ZK롤업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SEC, 금요일 장 마감 후 BTC 현물 ETF 심사 결과 발표 예상"]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SEC의 다음 비트코인 현물 ETF(21쉐어스&아크인베스트의 ARKB) 심사 마감일은 8월 13일(미국시간)이다. 일요일이므로 금요일까지는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금요일 장 마감 후 발표될 것 같다. 하지만 심사 기간 연장 가능성이 높다"고 트윗했다.

[덴마크 GL21캐피털, 이더리움 스테이킹 A/S 펀드 출시]

덴마크 암호화폐 투자사 GL21캐피털이 이더리움 스테이킹 A/S 펀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초기 모금 목표는 1억5000만 달러다. 이는 이더리움 스테이킹을 포함하는 대체투자 펀드다. GL21캐피털은 이를 위해 덴마크 암호화폐 스테이킹 제공 업체 노스스테이크(Northstake)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제미니, 2년 8개월 만 XRP 재상장]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제 제미니에 리플(XRP)을 입금할 수 있다. 거래 지원은 곧 추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미니는 지난 2020년 12월 7일(현지시간) XRP를 상장 폐지했으며, 거래소에서 판매되는 XRP는 증권이 아니라는 미국 법원 판단이 나온 후 재상장을 검토한다고 언급해왔다.

[외신 "대만, 암호화폐 규제 구축 움직임"]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대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샤인의 공동설립자 천페이윈이 페이스북을 통해 "8일 대만 금융관리국이 대만 내 암호화폐 거래소를 모두 소집해 9월 발표될 암호화폐 규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가 밝힌 회의의 주요 내용은 ▲은행 지원 확대 ▲자금 세탁 방지를 위한 벌금 제도 구축 ▲업계 자율규제 개발을 위한 협회 결성 등이다. 그는 "대만에서 새로운 산업이 탄생하고 있다. 이제 대만의 암호화폐 업계는 관련 협회는 물론 관할 규제 기관까지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 벤처스 "최근 로켓풀에 전략적 투자...RPL 토큰 매수했다"]

코인베이스 벤처스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코인베이스 벤처스는 최근 로켓풀(RPL) 팀으로부터 RPL을 매수하는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다. 로켓풀의 이더리움(ETH) 탈중앙화 확장 정책이 온체인 사용자 확장에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향후에도 RPL의 장기적 성장을 지원하며 커뮤니티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코인베이스 벤처스는 매수 시점과 취득 단가, 투자 금액 등은 밝히지 않았다.

[분석 "BTC 현물/파생상품 거래량 비율 사상 최저"]

트위터 팔로워 31.9만명을 보유한 암호화폐 투자자 겸 애널리스트 딜런 레클러(dylan leclair)가 크립토퀀트 데이터를 인용해 "비트코인(BTC) 현물 대 파생상품 거래량 비율이 약 5.2%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현물 약세를 전망하는 트레이더들은 매도할 물량이 바닥났고, 현물 강세를 전망하는 트레이더들은 전통금융(TradFi)의 시장 진입이나 BTC 현물 ETF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바이낸스랩스, 헬리오 프로토콜에 1000만 달러 투자]

유투데이에 따르면 바이낸스랩스가 최근 진행한 전략적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스테이블코인 HAY 발행사 헬리오 프로토콜(Helio Protocol)에 1000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투자금은 웹3, 디파이 관련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바이낸스랩스는 "바이낸스는 유동성 스테이킹 파생상품 금융(LSDFi) 분야에 잠재력을 보았으며 관련 프로젝트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페이팔 PYUSD, 이더리움 생태계에 파급효과"]

유투데이에 따르면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소속 암호화폐 마켓 애널리스트 제이미 쿠츠(Jamie Coutts)가 최근 트위터를 통해 "페이팔의 스테이블코인 출시가 이더리움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페이팔 활성 사용자 수는 4억 3500만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더리움 일일 평균 활성 주소 수는 100만개다. 페이팔 활성 사용자 중 단 1%만이 USD를 PYUSD로 전환해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기 시작해도 이더리움 생태계와 ETH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두바이 VC 일루미나티, $5,000만 투자금 조달... 암호화폐 스타트업에 투자]

미국 IT 전문 미디어 벤처비트(Venturebeat)에 따르면 두바이 기반 블록체인 투자사 일루미나티 캐피털(Illuminati Capital)이 블록체인 스타트업과 게임회사 등에 투자하기 위한 자금 5,000만 달러를 조달했다. 일루미나티 캐피털은 웹3와 디파이, 인공지능(AI), NFT, 실물자산(RWA) 토큰화 등 여러 분야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이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댓글

9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9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블루레인

2023.08.12 00:34:13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8.11 23:20:19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광란의셔터

2023.08.11 23:13:20

ㄱ 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lsy2384

2023.08.11 13:30:2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3.08.11 09:15:30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ityou

2023.08.11 08:00:4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hang0833

2023.08.11 07:04:04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incash

2023.08.11 07:01:5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키리나

2023.08.11 06:45:3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