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AI는 진화하는데 사람은 지친다… SOC 번아웃, 보안의 최대 리스크로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2

생성형 AI 확산으로 보안 인프라는 진화하고 있지만, SOC 인력의 번아웃이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CISO가 2025년 전략 핵심으로 AI 자동화와 피로도 해소를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AI는 진화하는데 사람은 지친다… SOC 번아웃, 보안의 최대 리스크로 / TokenPost Ai

생성형 AI가 사이버 보안 지형을 재편하면서도, 보안 운영 센터(SOC)에 근무하는 인력들은 역설적으로 점점 더 큰 *번아웃* 위험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텔레메트리 지연을 악용한 공격이 늘면서, 보안 담당자와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들이 실시간 대응에 실패해 치명적인 보안 사고를 겪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CISO가 2025년 보안 전략의 최우선 과제로 *AI 기반 자동화 도입과 피로도 해소 전략*을 설정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전체 CISO의 약 25%가 직무에서 물러날 생각을 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 중 93%는 극심한 스트레스를 주요 사유로 꼽았다. 가트너는 보고서를 통해 업무 피로가 대응 효율 저하와 경고 시스템 무시에 직결되며, 이는 결국 심각한 취약점으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65%의 보안 책임자들은 번아웃이 보안 운영 유지의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라고 답했다.

포레스터는 전체 보안 인력 중 36%가 일은 잘하지만 피로 누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피로한 슈퍼스타’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업무 강도가 지나치게 높은 SOC 인력들은 하루 평균 1만 개가 넘는 알림을 감시하고 분석해야 하며, 이로 인해 과중한 스트레스와 높은 이직률에 시달리고 있다. 아이반티 조사에서도 93%의 응답자가 디지털 업무 경험이 보안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지만, 이를 중점 관리 대상으로 보는 기업은 불과 13%에 그쳤다.

이에 따라 보안 업계는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고, 신속한 분류 및 대응을 유도하는 AI 도구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예를 들어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최근 ‘샬롯 AI 탐지 분류기’를 도입해 알림 평가의 98% 이상을 정확히 처리하며, 주당 40시간 이상의 수작업 부담을 제거했다. 포레스터는 이에 대해 AI 도입은 단지 자동화를 넘어서 보안 제어의 간소화, 중복 투자 제거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25년을 맞이하는 CISO들에게 필요한 전략 로드맵도 더욱 구체화되고 있다. ‘0~30일 기간’에는 AI 거버넌스 체계 수립, 실시간 AI 모니터링 툴 배치, IAM 강화, 특권 계정 감사 및 모니터링이 제시된다. ‘31~60일’에는 수동 패치 프로세스를 자동화 체계로 전환하고, 사이버 리스크 정량화(CRQ)를 도입해 경영진과 리스크 정보를 명확히 공유해야 한다. 마지막 ‘61~90일’ 기간에는 보안 도구 통합, 중복 제거, SOC 자동화와 같은 효율 최적화와 더불어 업무 피로 완화 시스템 구축이 권장된다.

생성형 AI가 사이버 공격 기술에도 빠르게 확산되며 상대적 우위가 사라지는 상황에서, 보안 수장들은 인간 중심의 적응형 보안 체계를 도입해 방어 역량을 강화하는 일이 시급하다. 점점 늘어나는 위협 벡터, 한정된 예산과 인력, 그리고 진화하는 AI 기술 등 삼중의 압박 속에서 CISO는 기술적 긴장감과 조직 내 리더십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셈이다.

결국 생성형 AI는 위협이자 도구라는 양면성을 지니며 CISO의 운용 전략에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AI를 적절히 활성화하고 조직 전반에 통합함으로써, 보안 인프라를 단일화하고 방어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이 2025년 이후의 경쟁력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WayneKIM

09:59

등급 아이콘

위당당

08:38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