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치안 서비스 도입을 본격화하면서, 경찰력 부족 문제를 보완할 새로운 기술적 대안이 모색되고 있다. 9월 30일 열린 과학치안자문단 회의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과 AI 기술을 활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이날 회의는 대전시 치안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기 협의체인 과학치안자문단 주도로 진행됐다. 자문단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SK텔레콤 등 국내 주요 연구기관 및 기업, 경찰청 과학치안 담당자 등 총 15명의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이번 논의는 특히 일선 치안센터 운영시간 제약, 인력 부족 등 구조적인 한계를 기술로 돌파하겠다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회의에서 다뤄진 핵심 과제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민원 응대에 활용할 수 있는 대화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이다. 이는 주요 문의사항(FAQ)에 자동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는 방안이다. 둘째, 현장에서 주민 요청 서류를 즉시 발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방안이 제시됐다. 셋째, 인공지능이 ‘비명’을 인식하는 기술이 적용된 비상벨과 CCTV를 경찰·소방 통합신고 시스템과 연동하는 기술적 모델도 논의됐다.
박은규 대전자치경찰위원회 기획팀장은 "일부 치안센터가 낮 시간에만 운영되는 상황에서, 상시로 배치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민원 안내와 긴급 상황 대응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한 치안 플랫폼이 점차 일상 속 범죄 예방과 시민 안전 확보로 확장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들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서, 실제 치안 운영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준까지 개발을 끌어올리기 위한 실용적 접근을 모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자문단은 향후 시범 지역 적용과 성과 분석을 통해, 전국 단위 확산 가능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 같은 흐름은 결국 지방 치안의 디지털 전환과 첨단기술 접목 확대라는 큰 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지역 치안 수요는 늘어나지만 인력 충원이 어려운 상황에서, AI 기반 치안 서비스는 지속가능한 공공 안전 전략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