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가 XRP 초기 개발 당시의 커밋 트리를 공개하며 관심을 모았다. 수년간 알려지지 않았던 리플 개발 과정의 이면이 드러나면서 커뮤니티 내에서는 뜨거운 반응이 이어졌다. 이번 공개는 트위터에서 이뤄진 대화 중 자연스럽게 등장하며 예기치 않게 완료됐다.
트위터 사용자 한 명이 오랜 기간 유지되고 있던 슈워츠의 헤더 이미지를 지적하자, 슈워츠는 새로운 배너 후보로 네 장의 이미지를 제시했다. 그중 다채로운 색상과 혼란스러운 구조의 커밋 트리 이미지가 눈에 띄었고, 이를 보고 정체를 궁금해한 팔로워에게 그는 “rippled의 실제 커밋 트리 일부”라고 밝혔다. 덧붙여 “가능한 한 복잡하고 엉망진창으로 보이도록 고른 것”이라고 유쾌하게 설명했다.
더불어 그는 XRP 프로토콜 개발 초기의 협업 방식도 공개했다. 슈워츠와 공동 창업자인 아서 브리토(Arthur Britto)는 즉흥적이고 빠르게 협업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코드를 자주 커밋했다고 회상했다. 당시에는 코드가 완전히 작동하지 않아도 의견을 바로 교환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커밋을 강행했다고 한다. 이는 일반적인 개발 팀과는 다른, 실험적이고 사실상 ‘혼돈’에 가까운 협업 방식이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슈워츠가 공개한 로그에는 자신과 브리토 외에 또 다른 초기 멤버 MJK도 등장하며, 당시 구성원 간의 협력이 얼마나 긴밀했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문제가 된 커밋 구간은 브리토와 슈워츠가 같은 코드 블록을 동시에 수정하면서 갈등이 자주 발생한 시점이었으며, 이는 개발 속도를 최우선으로 두었던 XRP 탄생기의 현장을 생생히 보여준다.
리플은 흔히 규제나 대형 파트너십 뉴스로 주목받지만, 이번 커밋 트리는 XRP가 만들어졌던 ‘날것’의 순간을 집약한 사례로 남는다. XRP 지지자들에게는 이 흔적이 단지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진정한 분산화와 실험 정신이 어떻게 구체화됐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번 공개는 블록체인 기술의 근원적 가치인 ‘개방성과 현실성’을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