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은 종종 롤러코스터에 비유된다. 가격이 한 달 사이에 폭등하거나 폭락하며, 투자자라면 누구나 지금이 상승장인지 하락장인지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시장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전략적으로 투자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상승장은 일반적으로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커지며, 전체 시장에 낙관적인 분위기가 감도는 시기를 말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비트코인(BTC)이 2020년 말부터 2021년 초까지 약 10,000달러에서 69,000달러까지 치솟았던 장이 있다. 당시 테슬라(TSLA),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등의 기관이 대규모 자금을 투입했고, 도지코인처럼 밈코인까지 급등하는 전방위적 강세장이 펼쳐졌다.
반면 하락장에서는 가격이 장기간 하락하고 투자자 심리가 위축되며 프로젝트들이 줄줄이 무너진다. 2022년이 이와 같은 시기였다. 비트코인은 다시 20,000달러 이하로 떨어졌고 테라, 셀시우스, FTX 등 주요 기업과 프로젝트가 붕괴하면서 시장의 신뢰마저 흔들렸다. 이러한 와중에 신규 투자자는 발을 빼고, 시장은 침묵 속에 빠져들었다.
시장 흐름을 판단할 때는 반드시 몇 가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대표적인 것이 거래량이다. 강세장에서는 가격 상승과 함께 거래량도 함께 증가해 유의미한 상승세임을 보여준다. 반면 약세장에서 거래량이 줄고 가격 하락이 지속되면 반등 가능성은 낮아진다.
시장 심리도 중요한 판단 요소다. 크립토 공포 탐욕 지수(Fear and Greed Index)와 같은 지표는 투자자들의 감정 상태를 잘 반영한다. 탐욕이 극단적으로 높으면 고점에 접근했을 수 있고, 공포가 극심한 시점엔 반대로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
경제적 배경도 시장 국면 전환의 단서가 된다. 저금리나 유동성 확대는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반면, 금리 인상이나 긴축 정책은 리스크 자산의 매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2020년의 상승장은 팬데믹 대응을 위한 경기 부양책과 맞물렸고, 2022년의 하락장은 미 연준의 금리 인상과 직결됐다.
이처럼 가격만 보지 말고, 거래량, 투자 심리, 거시경제 조건 등 다양한 신호를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지금이 어느 단계인지 파악할 수 있다. 시장 순환을 이해한다면, 단기 급등에 휘둘려 추격 매수하거나 바닥에서 공포에 떠는 실수를 줄일 수 있다. 감정을 내려놓고 구조를 보면, 언제 어느 장세든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