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크립토 에코맵] 비트코인 강세…데이터·스테이킹 부문은 '약세' 전환

작성자 이미지
정민석 기자
1
1

지난 한 주간 암호화폐 생태계는 부문별로 상승과 하락이 뚜렷하게 갈렸다. 비트코인과 가치저장형 자산은 방어적 흐름을 보였고, 데이터·스테이킹·RWA는 하락폭이 컸다.

암호화폐 주요 부문의 시가총액 변화에서 비트코인과 가치저장형 자산이 상대적으로 강한 흐름을 보인 반면, 데이터 서비스와 스테이킹 솔루션 등은 약세를 나타냈다.

7일 암호화폐 주요 섹터의 시가총액 변동률을 한 주간 집계한 아르테미스 제공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Bitcoin)과 가치저장형 자산(Store of Value) 섹터는 상승세를 보이며 방어적 자산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한 반면, 데이터 서비스(Data Services), 스테이킹 솔루션(Staking Services), 실물자산 토큰화(RWA) 등은 두 자릿수 하락 또는 약세 흐름으로 전환됐다.

주간 강세

가치저장형 자산(Store of Value) 부문은 7일간 4.8% 상승하며 전체 부문 중 가장 강한 오름세를 기록했다.

비트코인(Bitcoin), 비트코인 캐시(BCH), 라이트코인(LTC) 등 전통적인 디지털 가치저장 수단으로 구성된 이 부문은 최근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시장 내 리스크 회피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비트코인 단독 부문도 2.9% 상승하며 전체 시장 대비 강한 흐름을 이어갔고, 비트코인 기반 레이어2 프로젝트 ▲스택스(Stacks, STX), ▲룬(THORChain, RUNE) 등으로 구성된 비트코인 생태계 전반에서 자금 유입이 관측됐다.

프라이버시 코인(Privacy Coin) 부문과 이더리움(Ethereum) 부문도 각각 2.9%, 2.6% 상승하며 함께 강세를 보였다.

주간 약세

데이터 서비스(Data Services) 부문은 7일간 12.0% 하락하며 전체 부문 중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스테이킹 솔루션(Staking Services) 부문은 10.7% 하락했고, 실물자산 토큰화(RWA, Real-World Assets) 부문도 6.2% 하락했다.

이외에도 파생상품 탈중앙화거래소(Perp DEX) 부문은 6.7%, 브릿지(Bridge) 부문은 6.1%, 탈중앙금융(DeFi) 부문은 5.9%, 소셜(Social) 부문은 5.6% 하락하며 하락폭이 컸던 주요 분야에 포함됐다.

주간 보합

NFT 애플리케이션(NFT Applications, ±0%), 거래소 토큰(Exchange Tokens, +0.1%),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Smart Contract Platform, -0.6%), 유틸리티 및 서비스(Utilities and Services, -0.9%) 등은 ±1% 내외의 등락폭을 보이며, 뚜렷한 방향성을 형성하지 못한 채 제한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AI(+0.4%) 부문도 소폭 상승했지만 추세 전환 신호가 나타나진 못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1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가즈아리가또

07:40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가즈아리가또

2025.05.08 07:40:2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