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공동 창업자이자 전 최고경영자(CEO)인 창펑 자오(Changpeng Zhao, CZ)가 최근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한 기사 내용에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그는 자신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된 프로젝트의 ‘브로커’로 묘사한 기사를 "악의적이고 왜곡된 공격 기사"라고 비판했다.
자오는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WSJ의 보도를 정면으로 반박하며 “기사 내용은 사실과 다르며 부정적인 추정으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했다. 문제가 된 보도는 그가 월드리버티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이라는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젝트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 사업체는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된 사업 파트너가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아들인 에릭 트럼프와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해당 프로젝트의 운영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파장이 확산됐다.
WSJ에 따르면 자오는 WLF 공동 창립자인 잭 위트코프(Zach Witkoff)와 함께 해외 출장 중 각국 고위 인사들과의 접촉 및 만남을 주선해주는 ‘중개인’ 역할을 해왔으며, 파키스탄 방문 당시 현지 고위 인사와의 양해각서 체결까지 이끌어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자오는 “나는 누구의 중개인도 아니며, 특히 WLF나 잭 위트코프를 대신해 어떤 일정이나 만남을 주선한 적이 없다”고 단호히 부인했다. 또한 보도에서 언급된 파키스탄 고위 관료인 '사킵(Saqib)'씨와의 만남에 대해서도 "그들은 나보다 훨씬 이전부터 알고 지낸 사이며, 나는 파키스탄에서 그를 처음 만났다"고 주장했다.
이번 논란은 트럼프 대통령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신뢰성과 투명성에 대한 의문을 낳고 있다. 자오까지 거론되면서 WLF를 둘러싼 국제적 정치적 이해관계 논란이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업계는 이번 일로 자오의 이미지뿐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친암호화폐 행보에도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