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조기 대선이 디지털 자산을 매개로 치열한 경쟁 구도로 전개되고 있다. 후보자들이 암호화폐 친화 공약을 앞다퉈 내세우며, 전 세대를 아우르는 투자자들의 표심을 사로잡기 위한 행보에 나섰다.
대선 유력 주자 세 명 모두 경쟁적으로 암호화폐 정책을 발표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비트코인(BTC) 현물 ETF 합법화*와 제한적인 원화-암호화폐 간 거래를 허용하는 기존 은행 규제 완화 등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단 5개 거래소만이 원화 기반 거래를 허용받고 있는데, 이를 해소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번 대선은 오는 6월 3일로 예정돼 있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약 2년 앞당겨 치러지게 됐다. 윤 전 대통령은 2024년 말 계엄령 선포 시도로 헌정 위기를 초래했고, 국회의 조기 개입으로 계엄령은 곧 철회됐지만 최종적으로 직위에서 물러나며 조기 선거가 확정됐다.
윤 전 대통령은 2022년 대선 당시 젊은 세대를 겨냥해 암호화폐 규제 개혁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그리고 두 해가 지난 현재,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은 더욱 확대된 모습이다. 특히 장년층 이상의 유입이 빠르게 늘면서, 암호화폐는 더 이상 젊은 세대만의 관심사가 아닌 전국민적 정치 이슈로 부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