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암호화폐 규제, 글로벌 표준화 속도 붙었다…73% 국가 트래블 룰 도입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FATF에 따르면 전 세계 73% 국가가 암호화폐 거래 추적을 위한 트래블 룰을 도입했다. 스테이블코인·디파이도 불법 활용 우려 속 집중 관리 대상에 올랐다.

 암호화폐 규제, 글로벌 표준화 속도 붙었다…73% 국가 트래블 룰 도입 / TokenPost AI

암호화폐 규제, 글로벌 표준화 속도 붙었다…73% 국가 트래블 룰 도입 / TokenPost AI

암호화폐 규제가 국제 기준에 점점 더 부합하면서, 전 세계 73%의 규제 권역이 ‘트래블 룰(Travel Rule)’을 자국 법제에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수년간 추진해온 글로벌 기준에 각국이 실질적으로 동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변화다.

트래블 룰은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에게 사용자 간 거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공유하도록 요구하는 규제로, 기존 전통 금융권의 자금세탁방지(AML) 요건과 유사하다. FATF는 6월 26일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서, ▶암호화폐 규제의 국제 통일 흐름 ▶구체 법제화 현황 ▶국가별 채택 속도 등을 정리하며 주요 추세를 공식화했다.

FATF는 트래블 룰 도입 외에도 최근 2년 연속 스테이블코인과 디파이(DeFi)를 *집중 관리 대상*으로 지목하며, 이들이 북한을 포함한 불법 금융 네트워크에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FATF는 내년 여름까지 스테이블코인, 디파이, 역외 암호화폐 플랫폼 등에 대한 *별도 전략 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향후 글로벌 암호화폐 규제의 향방을 가늠할 단서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번 발표는 FATF가 암호화폐 산업을 전통 금융과 같은 수준의 규제 틀로 끌어들이기 위한 장기적 노력을 실질적으로 결실 맺고 있음을 시사한다. FATF는 향후에도 자금세탁과 테러자금 지원 통제 강화를 위해 주요 정책 보고서와 감시 강화 조치를 지속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3:08

등급

StarB

00:04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StarB

2025.07.02 00:04:1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