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사상 최고가인 11만 1,000달러(약 1억 5,429만 원)에 근접하며, 단기적으로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돌파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강력한 기술적 지표와 기관 중심의 지속적인 매수세가 상승 모멘텀에 탄력을 더하면서, 주요 저항선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시장의 주목을 끌고 있다.
비트코인은 최근 10만 6,000달러(약 1억 4,734만 원) 지지선에서 반등에 성공했고, 다시 고점 영역으로 접어들었다. 특히 100일 이동평균선이 200일선을 상향 돌파하며 '골든크로스'를 형성, 장기적인 상승세 신호가 확인된 점도 투자 심리를 가속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당 구간은 과거에도 기술적 강세 전환의 전조가 되었던 만큼,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4시간 차트에서도 추가 상승 가능성은 명확하다. 비트코인은 하락 채널 상단에서 반락 후 단기 조정을 거친 뒤 매수세가 유입되며 다시 돌파에 성공했다. 현재는 이른바 유동성 집중 구간인 11만 1,000달러 부근의 저항을 앞두고 있으며, 해당 가격대는 많은 매도 스탑로스가 몰려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대형 투자자들이 이 지점을 활용해 추가 매수세를 유도할 가능성도 크다.
온체인 데이터 역시 강세 흐름을 뒷받침한다. 바이낸스 비트코인 청산 히트맵(Binance BTC Liquidation Heatmap)을 살펴보면, 11만 1,000달러 이상 구간에 대규모 청산 주문이 매설돼 있다. 이 영역은 오히려 유동성 자석 역할을 하며, 가격이 해당 위치까지 끌어올려질 가능성을 높인다는 해석이다. 일단 이 수준을 완전히 돌파할 경우, 단기적인 숏 스퀴즈 현상으로 인해 급격한 상승세가 촉발될 수 있다.
다만, 이 구간은 동시에 강력한 매도 압력도 존재하는 이중 성격의 영역이다. 저항 돌파에 실패할 경우, 다시 하락 조정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가격이 이중 봉쇄 구간을 어떻게 소화하느냐에 따라 비트코인의 다음 방향성이 확정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기조에 따라 반복적으로 강화되는 암호화폐 규제 완화 기대감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고 있다. 기관 자금 유입과 기술적 분석 결과, 온체인 흐름까지 고르게 강세 신호를 보내고 있는 만큼, 단기 목표치인 12만 달러 돌파 시도는 충분히 현실적인 시나리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