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오랜 기간의 횡보세를 마치고 심리적 저항선인 3,000달러(약 4,170만 원)를 돌파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는 현물 거래자들과 파생상품 시장 모두에서 매수세가 크게 유입된 결과로, 향후 추가 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하지만 가격이 주요 공급 구간에 진입한 만큼, 이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을지 여부는 향후 며칠간의 가격 반응에 달려있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일간 차트 기준 이더리움은 2,800달러(약 3,892만 원) 구간에 있던 강력한 저항선을 돌파한 뒤, 지난 초봄 이후 처음으로 해당 구간 위에서 안정적인 거래를 보이고 있다. 현재 가격은 100일과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시장의 추세 전환을 의미하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특히, 이전에 발생했던 2,900달러(약 4,031만 원) 지점의 유동성 유입이 단순한 스탑 사냥이 아닌 실제 매수 움직임임이 이번 급등으로 확인됐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3,400달러(약 4,726만 원) 부근에 존재하는 상단 저항이 새로운 관건으로 떠올랐다. 상승 흐름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2,800달러 가격대가 다시 지지선 역할을 해야 하며, 이 구간이 무너지면 200일 이동평균선이 위치한 2,500달러(약 3,475만 원) 초반까지 조정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4시간 봉 차트를 보면, 이더리움은 2,800달러를 돌파하며 여러 매수 유동성 구간과 시장 불균형 영역을 해소한 모습을 보였다. 현재 상승 구간에는 가격 괴리가 형성되어 있어, 단기 조정이 있을 경우 2,850~2,900달러(약 3,962만~4,031만 원) 사이가 재진입 지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만약 이 구간에서도 수요가 유지된다면 시장은 다시금 상승세를 탈 가능성이 크다. 보다 깊은 조정이 나온다면 2,700달러(약 3,753만 원) 부근의 공정가치 갭이 다음 지지선 역할을 할 것이다.
시장 심리 측면에서도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극대화되고 있다. 전체 거래소 기준 이더리움 파생상품의 오픈이자(Open Interest)는 226억 달러(약 31조 4,140억 원)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대량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형성됐다는 뜻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양방향 청산 리스크도 커졌음을 의미한다. 특히 오픈이자가 상승 중이지만 가격이 급등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소 불안한 구조라는 해석도 나온다.
전반적으로 볼 때, 이번 3,000달러 재돌파는 기술적·심리적 측면 모두에서 이더리움 상승장의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 다만 과도한 레버리지와 단기 과열 조짐에 따라 보수적인 접근이 요구되며, 투자자들은 주요 지지선 유지 여부와 차익 실현 움직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