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로버트 기요사키 "美 붕괴 임박... 비트코인·금·은만이 해답"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로버트 기요사키는 미국 경제가 1929년 대공황과 유사한 붕괴 위기에 처해 있다고 경고하며, 비트코인·금·은 같은 실물자산으로의 분산 투자를 촉구했다. 그는 정부의 과도한 부채와 달러 발행이 구조적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로버트 기요사키

로버트 기요사키 "美 붕괴 임박... 비트코인·금·은만이 해답" / TokenPost.ai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Robert Kiyosaki)가 또다시 미국 경제의 붕괴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그는 미국 금융체제가 1929년 대공황 당시와 유사한 위기로 빠져들고 있으며, 비트코인(BTC), 금, 은 같은 실물자산만이 자산 방어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기요사키는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또 다른 1929년형 붕괴 직전에 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정부의 무분별한 달러 발행과 눈덩이처럼 불어난 부채가 현재 위기의 핵심이라며, 이는 단순한 조정이 아닌 전면적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미국은 역사상 가장 많은 부채를 지닌 국가가 됐다”며, “계속 돈을 찍어 적자를 메운다고 해서 시스템이 유지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런 구조적 위기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401(k)나 IRA 같은 전통적인 주식 중심의 퇴직연금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을 우려의 눈길로 바라봤다.

기요사키는 유명 투자자인 워렌 버핏(Warren Buffett), 짐 로저스(Jim Rogers)가 이미 대부분의 주식과 채권을 정리했다고 덧붙이면서, 현명한 투자자일수록 주식시장에 머물지 않고 금, 은 혹은 비트코인처럼 본질적인 가치가 있는 자산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의 이러한 극단적 전망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과장된 해석이라는 반론도 내놓고 있다. 실제로 CFP(Certified Financial Planner)인 마크 맥그래스(Mark McGrath)는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 트윗을 올리기도 했다.

특히, 기요사키는 낙관적인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ETF(상장지수펀드)에 대해서도 신중한 시선을 드러냈다. 그는 “ETF는 말 그대로 ‘사진’일 뿐”이라며, 실제 자산을 소유하지 않고는 위기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위험한 세상에서 총 사진 하나 가지고 있다고 안심할 수 없다”며 진짜 금, 은, 비트코인, 심지어 총기까지 실물로 소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그는 투자자들에게 “워스트 시나리오에 대비하라”고 권고하며, 단기 수익에만 집착하는 월가의 시각에서 벗어나 장기적으로 가치를 지닌 실물자산에 집중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이는 만일 미국 경제가 실제로 붕괴 국면에 들어설 경우, 비트코인이나 금과 은 같은 대체자산의 수요가 급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00:07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7.29 00:07:5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금조

2025.07.28 22:00:4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