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11만 7,500달러(약 1억 6,308만 원) 저항선 돌파에 실패하면서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졌고, 현재는 11만 5,000달러(약 1억 5,985만 원) 아래로 밀려난 상태다. 그러나 상승 추세가 꺾였다고 보긴 이르다. 주요 기술 지표들은 여전히 매도보다는 매수세 우위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11만 3,400달러(약 1억 5,763만 원) 이상만 지켜낸다면 비트코인 강세론은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 분석업체 머티리얼 인디케이터(Material Indicators)의 공동 창업자 키스 앨런(Keith Alan)은 X(구 트위터)를 통해 "BTC는 12만 4,500달러(약 1억 7,288만 원) 부근에서 아직 고점을 찍지 않았다"며, 풍부한 기관 수요가 상승 여력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현물 ETF 시장을 중심으로 기관 투자 유입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실제로, SoSoValue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금요일 하루 동안 비트코인 현물 ETF에 6억 4,235만 달러(약 8,919억 원) 규모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로써 일주일간 순유입 규모는 23억 4,000만 달러(약 3조 2,526억 원)에 달했다.
기관의 관심은 비트코인에만 머물지 않는다.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도 지난주 기준 6억 3,768만 달러(약 8,866억 원)가 유입되며 두 자릿수 증가 폭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수치가 단기 조정 구간을 매수 기회로 보는 기관들의 기대 심리를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처럼 일부 알트코인에서도 단기 차익 실현 압력이 예상되지만, 저가 매수세 유입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시장 전반의 매수 에너지는 여전히 살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주요 지지선이 붕괴되지 않는 한 조정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