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고래 투자자들의 매수 움직임이 다시 한번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바이낸스에서 거래되는 비트코인 현물 주문의 평균 규모가 196만 달러(약 26억 6,400만 원)로 급등하며, 기관 자금과 대형 투자자 중심의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바이낸스(BNB)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평균 현물 주문 규모가 10월 중순 이후 꾸준히 증가해 최근 196만 달러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수치 변화가 아니라, 시장 방향에 대한 고래들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크립토퀀트 분석가 아랍체인(Arab Chain)은 "기관과 고액 자산가들이 현재 가격대를 매력적인 진입 구간으로 보고 빠르게 포지션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거래량 증가와 바이낸스로의 자금 유입 등과 맞물려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최근 바이낸스 기준 일일 비트코인 현물 거래량은 28억 2,000만 달러(약 3조 8,300억 원)를 넘기며 유동성 확대 조짐을 보였다. 거래소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줄어드는 동시에 고래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화된다는 점은 현 시장이 대규모 자금에 의해 이끌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10월 10일 비트코인 가격 급락 당시, 평균 현물 거래 규모가 하루 만에 480만 달러(약 65억 2,800만 원)를 넘어서며 100% 이상 급등했던 사례다. 이를 두고 시장 일각에서는 고래들이 ‘하락장 매수’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는 해석을 내놓는다.
이와 함께 점점 더 많은 고래들이 장기 보유자로 전환하며 거래소 비트코인 잔고도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이는 단기 매매보다 장기 상승세에 베팅하는 자금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비트코인은 10월 6일 12만 6,200달러(약 1억 7,100만 원)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뒤, 10월 10일 10만 6,000달러(약 1억 4,400만 원)로 급락한 바 있다. 이후 11만 달러(약 1억 4,960만 원) 선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비트코인이 현재 사이클 상 정점에 가까이 와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향후 수개월 내 또 다른 상승 랠리가 펼쳐질지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이번 상승은 개인 투자자의 단기 반등이 아닌, 고래 중심의 구조적 매집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