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소상공인의 경영 위기를 조기에 파악하고 금융 지원 문턱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내놨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상담 시스템 확대와 신용평가 대안 모형 도입이 주요 골자다.
중기부는 9월 2일 대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위기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기존에 연체자 위주로만 관리하던 체계에서, 앞으로는 매출 감소 등 위기 가능성이 감지된 사업자까지 사전 대응 대상으로 삼겠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폐업 등의 극단적인 상황에 이르기 전에 적절한 정책 지원을 받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인공지능 기반 ‘보이스봇’ 상담 기능을 강화해 사업자의 위기 징후를 분석하고, 관련 정책을 자동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대출금을 연체하지 않았더라도 매출이 급감한 경우 보이스봇이 연락해 재기 지원, 긴급 자금 등 정부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현재는 31일 이상 연체된 대출 이력이나 매출 변화 같은 지표가 주요 판단 기준으로 활용된다.
아울러 중기부는 정형화된 금융 정보만으로는 평가하기 어려운 중신용 이하 소상공인에 대해서는 ‘대안평가모형’도 내년 초부터 시범 적용한다. 이 모형은 카드사 매출 데이터 등을 활용해 사업자의 안정성과 향후 상환 능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는 도구로, 초기 창업자나 소득이 불안정한 자영업자도 기존 금융권 심사를 통과하지 않고 정책자금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전망이다. 이 평가 체계가 도입되면 자금 집행 소요 기간도 앞당겨져, 평균 28일 걸리던 대출 절차가 21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는 사전 경영 진단을 통해 위기 가능성이 있는 소상공인을 선별하고, 1대1 맞춤 상담과 재기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방식으로 사업자의 생존율을 높이겠다는 구상도 추진된다. 특히 자금 지원뿐 아니라 경영 전반에 대한 컨설팅을 통해 근본적인 회복 기반 마련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과밀한 경쟁, 경기 둔화, 금리 부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 환경 속에서 정부와 금융 시스템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구조로 나아가는 신호로 풀이된다. 특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대응은 향후 복지와 정책 집행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