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JP모건 CEO 경고 “트라이컬러 파산, 신용시장 구조적 위험 신호”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CEO가 신용시장 과잉을 지적하며, 최근 자동차 담보대출업체 트라이컬러의 파산은 구조적 위험의 신호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JP모건 CEO 경고 “트라이컬러 파산, 신용시장 구조적 위험 신호” / TokenPost.ai

JP모건 CEO 경고 “트라이컬러 파산, 신용시장 구조적 위험 신호” / TokenPost.ai

미국 최대 금융기관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발생한 자동차 담보대출 업체 파산 사태와 관련해 미국 신용시장의 과잉 징후를 경고하고 나섰다. 그는 이번 파산 사례를 단독 사건으로 보기보다, 과도한 레버리지와 느슨해진 대출 기준이 시스템 전반에 확산됐을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이먼 CEO는 14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바퀴벌레가 한 마리 보이면, 더 있다는 뜻"이라고 비유하며 "트라이컬러 파산은 신용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시사하는 신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트라이컬러는 신용등급이 낮은 소비자 대상으로 자동차 담보대출을 제공해온 업체로, 최근 당국의 조사 속에 파산을 신청한 상태다.

그는 같은 날 CNBC와의 전화 인터뷰에서도 지난 14년에 걸친 신용 강세장이 시장 전반에 위험 요소를 쌓아 놓았다고 평가했다. "이제 문제들이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며, 이번 사태는 그 시작에 불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JP모건은 올해 3분기 실적에서 트라이컬러 관련 자산 1억7,000만 달러(약 2,453억 원)를 상각 처리했다.

해당 사태는 트라이컬러에 국한되지 않는다. 최근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퍼스트브랜즈 또한 과도한 부채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파산 보호 신청을 했다. 연쇄적으로 드러나는 파산 사례들은 과열된 기업대출 시장과 신용 확장의 후유증을 보여주는 단면으로 풀이된다.

시장 내에서는 이번 파산이 미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충격은 제한적일 수 있으나, 신용 구조 불균형에 대한 우려는 더 확산될 수 있다는 판단이 지배적이다. 특히 금리 고공행진이 지속되면서 고위험 대출자나 기업들이 더 이상 이자 부담을 감내하지 못하고 무너지는 사례가 반복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지난해부터 연준의 긴축 기조가 강화되는 가운데 일부 비우량 신용시장에 쌓인 리스크가 어느 순간 폭발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 JP모건의 경고는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다이먼 CEO의 발언은 미국 경제의 체력이 여전히 강하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특정 부문에 내재된 신용불균형이 순식간에 위기로 번질 수 있음을 상기시키는 신호탄이다. 금융기관들과 투자자들은 보다 보수적인 리스크 평가 시각을 요구받고 있으며, 규제당국 역시 대출 구조의 실태를 점검해야 할 시점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