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칼럼] 비트코인 채굴 산업과 한국 정서: 오해와 가능성의 재조명

4
6

셔터스톡

최근 필자가 근무 중인 회사는 현재 키르키즈 공화국에서 진행 중인 소수력 발전/공급, 잉여 전력을 활용한 비트코인 채굴 사업의 정부지원사업 발표심사 평가에서 “비트코인 채굴 관련 사업은 아직 한국 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선정에서 제외되었다. 이는 심각한 인식의 편향과 기술적 오해를 드러낸다. 이는 ‘정서’라는 비과학적이고 주관적인 기준이 국가 혁신과 기술 진보의 흐름을 제약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이다. 본 글에서는 비트코인 채굴 산업이 왜 정부지원사업의 적합 대상이 되어야 하며, 왜 ‘한국 정서’라는 추상적 개념에 기대어 이를 배척하는 것이 위험한가를 다각도로 고찰하고자 한다.

1. 에너지 효율성과 분산 컴퓨팅 기술의 첨단성

비트코인 채굴은 단순한 전력 소모형 산업이 아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분산 컴퓨팅을 실현하는 대표적 응용 예이며, 고도화된 하드웨어 설계, 냉각 시스템, 에너지 최적화 알고리즘 등의 융복합 기술이 결집된 영역이다. 선진국들은 이 기술을 단순한 ‘암호화폐 생산’이 아닌 분산 인프라 기술로 바라보고 있으며, 이미 AI 연산 처리, 보안 네트워크 개발, 신재생에너지 연계 모델에 응용 중이다. 현재 미국에는 마라톤 디지털 홀딩스, 라이엇 플랫폼스, 클린스파크 등 15개 이상의 비트코인 채굴 회사가 상장해 있다. 비트코인 채굴 산업은 미국 내에서 제도권 금융시장에 편입되어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비트코인 채굴 산업을 단순한 투기적 시각이 아닌, 기술 혁신과 경제 활성화의 관점에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2.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에너지 전환의 매개

특히 비트코인 채굴은 폐광 지역이나 전력 공급이 풍부한 지방에서 전력 부하를 조절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의 도구가 될 수 있다. 실제로 미국 텍사스 주나 캐나다 퀘벡 주에서는 수력, 풍력 에너지 잉여분을 활용한 채굴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으며, 이는 청정에너지 수요의 유연성을 높이는 실험적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한 예로 한국의 제주도는 상대적으로 대규모 제조업 기반이 부족한 대신, 관광과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계절적 비수기에는 에너지 및 인프라가 유휴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제주도는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하지만 날씨에 따라 공급량이 급변하고, 소비 수요와의 불일치로 인해 전력 낭비(계통 출력제한, curtailment)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비트코인 채굴은 전력 수요를 실시간으로 조정 가능하며, 잉여 전력의 소비처로 활용될 수 있다. 전력망 안정화는 물론, 신재생에너지 기반 채굴은 탄소 배출 우려를 최소화하여 ‘그린 채굴’이라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나아가 비트코인 채굴 사업은 365일 24시간 가동되는 고정 수요 산업으로, 이러한 유휴 자원(전력, 부지, 인력 등)의 고정 수익화를 가능케 한다.

3. 정서는 객관적 기준이 될 수 없다

‘한국 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표현은 추상적이고 정의가 불분명하다. 이는 마치 과거 정보통신기술이 처음 등장했을 때 ‘인터넷은 무책임한 공간’이라는 정서적 반응으로 규제하려 했던 시대를 연상케 한다. 기술의 수용 여부를 ‘정서’로 판단하는 것은 과학적 사고를 부정하는 행위이며, 국제 경쟁력 확보라는 관점에서 심각한 장애 요소가 될 수 있다. 인공지능, 드론, 자율주행 기술에는 적극적으로 정부지원이 이뤄지는 반면, 블록체인 기반 채굴 산업만을 배제하는 것은 이중적이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아닌, 가상자산에 대한 과거의 투기적 이미지에 근거한 편견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은 앞서 언급한 나스닥 상장 기업들이 채굴 관련 사업을 운영 중이며, 일부 주 정부는 채굴 산업에 대해 세금 감면 및 전력 보조금을 제공한다. 유럽연합은 채굴 산업을 포함한 블록체인 기술을 친환경 전환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으며, 일본은 채굴 사업자에 대한 규제 프레임을 정립하여 합법적 경로로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처럼 세계 각국은 규제와 진흥의 균형 속에서 채굴 산업을 관리하고 있으며, ‘정서’보다는 ‘제도와 기술’로 접근하고 있다.

정부지원사업은 새로운 산업에 대한 씨앗 자본의 역할을 한다. 특히 초기 기술이 대중의 이해를 얻지 못한 시점일수록, 정부는 선제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통해 시장을 선도하고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비트코인 채굴은 ‘정서’의 잣대로 배척될 대상이 아니라, 기술적·경제적 잠재력을 재조명하며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산업이다. 이제는 정부가 '정서'가 아닌 '논리와 데이터'로 정책을 결정할 때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4

추천

6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4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릴라당

10:05

등급 아이콘

가즈아리가또

02:00

등급 아이콘

사계절

00:11

등급 아이콘

StarB

00:03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5.04 10:05:5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5.04 00:11:4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5.04 00:03:4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5.03 23:05:1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